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뉴스
"
전도
"(으)로 총 780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로벌리더연구·선도연구센터 선정…10년간 4069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열광전변환 모듈’의 이봉재 KAIST 교수, ‘인체공학적 전자소자용한계극복형 차세대
전도
성 고분자 개발’의 김범준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정보통신기술(ICT)ㆍ융합 분야에선 ‘가상 3차원 공간 생물학’의 박용근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 3453억원 지원 글로벌 선도연구센터…14개 대학, 18개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활용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양전하를 띠는 빈 공간인 '정공'이, n형 반도체는 음전하를 띠는 '전자'가 전기를
전도
한다. 디스플레이에 널리 활용되는 반도체는 인듐갈륨아연산화물(IGZO) 기반의 n형 산화물 반도체다. 현재 p형 산화물 반도체는 n형과 비교해 전기적 특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p형 산화물 반도체를 대신해서 쓰이는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결합을 만들었다.
전도
성 고분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고분자다. 레이저를 조사하자
전도
성 고분자 내에서 물질 분리가 일어나며 부드러운 하이드로젤로 변했다. 해상도가 높은 레이저를 통해 기판 위의 원하는 위치에서만 강한 접합을 유도할 수 있어 하이드로젤의 초미세 패터닝이 가능했다. ... ...
몰리브데넘계 지지체로 그린 수소 생산 비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지녀 수소 생산에 유리하다. 문제는 티타늄의 원자적 특성으로 인해 촉매가 높은 전기
전도
도를 유지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몰리브데넘을 적용한 맥신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음극 촉매를 새롭게 설계했다. 몰리브데넘은 원자번호 42번 원소로 광택이 있는 비교적 ... ...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소자를 구현했다고 3일 밝혔다. 1차원 금속은 전자가 1차원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전도
경로를 가진 금속으로 전자의 운동이 1차원적인 공간에서 제한된다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최근 반도체 소자 소형화가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면서 2차원 반도체를 활용한 연구가 전 세계적인 기초·응용 ... ...
전류 대신 압력으로 '위상 자성 반도체' 물성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흐름이 전기장과 수직한 방향으로 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압력을 가하자 물질의 전기
전도
특성이 변화함과 동시에 스핀의 정렬 방향이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급격하게 바뀌는 '스핀 재정렬 전이'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전류를 흘리지 않고 압력을 가해 전기적·자기적 물성을 변화하는 ... ...
가슴 두근거린다는 아이, 소아부정맥 가능성 확인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찾고 고주파로 원인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위치에 따라 심장
전도
체계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 냉각절제술을 시행한다. 냉각절제술은 예기치 않게 빠른 심장박동이 느껴졌다가 멈추는 상심실성 빈맥에 주로 적용할 수 있는 시술이다. 심장에서 ... ...
청바지 원료로 값싸고 성능 좋은 리튬이온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푸른색 염료로 사이안화철과 사이안화망간을 포함한 화합물이다. 생산 비용이 낮고 이온
전도
도가 높아 다양한 이온을 수용할 수 있다. 문제는 프러시안블루를 활용해 리튬이온전지를 만들면 유기용매 전해질에서 반응 속도가 느리거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에너지 밀도와 수명 성능에 한계를 ... ...
이온 주입해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신뢰도·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적합하다. 뉴로모픽 컴퓨팅의 단위 소자로 활용되는 멤리스터는 전기가 흐르는 정도인
전도
성의 변화를 통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연산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다. 멤리스터는 소자의 특성이 불규칙하게 변화해 신뢰성이 낮은 것이 문제였다. 연구팀은 멤리스터 소자에 있는 산화물층 내에 ... ...
[과기원NOW] GIST, 7년만에 학부생서 박사되는 ‘패스트 트랙’ 신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물질이 빛을 내는 것을 ‘전계발광’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투명하고 신축성이 높고 전기
전도
도가 있는 특수재료인 ‘이온젤’을 전극으로 사용한 면내전계 기반 발광소자를 제작했다. 전극이 발광층 내부에 있어 극한 환경에서도 보호막 없이 잘 작동하고 제작이 간단하다. 연구팀은 개발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