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뉴스
"
전도
"(으)로 총 749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켈·코발트 없이 에너지밀도 40% 높인 리튬이온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망간 기반 DRX 전극 제조 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해 DRX 양극재의 낮은 전자
전도
도를 보완하고 충·방전 간 부피 변화를 견딜 수 있게 하자 전극 내 양극재 비율을 96%까지 끌어올려도 전자 전달 네트워크와 전지 성능이 열화되지 않았다. 니켈, 코발트 없이 전극 무게 기준 약 1050Wh/kg(킬로그램 ... ...
[과기원NOW] KAIST, 세계 최고 수준 유기용매 여과용 초박막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 포스텍은 김기문 화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그래핀 수준의 전자 이동속도를 갖는
전도
성 이차원 고분자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그래핀과 화학적으로 구조가 유사한 '트리아자코로넨'을 사용했다. 그 옆에 부피가 큰 펜던트 작용기를 도입했다. 이 작용기는 반응의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24.04.27
라부아지에만큼이나 이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광택, 높은 전기 및 열
전도
성 등과 같은 금속의 공통 성질에 주목했던 플로지스톤 체계와 달리 라부아지에게 중요한 문제는 반응 전후의 질량 보존을 보여주는 것뿐이었다. 플로지스톤 이론이 멸종된 이후 에너지나 전자 개념이 ... ...
액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발열 문제 해결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학계에서 서버나 소자를 바닷물이나 비
전도
성 유체에 담그는 '액침냉각방식'을 고안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생각을 전환했다. 발열 문제를 근본적으로 겪지 않도록 컴퓨팅 소자 자체를 유체 기반으로 만들기로 한 것이다. 우리 몸의 신경세포 작동 ... ...
땅 속 고압 아닌 1기압에서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환경에서 탄소(C) 원자가 결합해 수백만 년 이상의 시간이 걸려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열
전도
성이 우수하고 단단하며 화학 물질과도 잘 반응하지 않아 전자기기나 반도체 등 활용 분야가 넓다. 실험실에서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기존 연구에서 다이아몬드는 1300~1600℃에 이르는 고온과 우리 ... ...
반도체 20년 난제 해결…고성능·고안정 p형 박막 트랜지스터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Te) 산화물에서 산소가 부분적으로 빠지고 빈 공간에 셀레늄(Se)이 채워지면 정공을
전도
하는 성질이 생기는 현상을 알아냈다. p형 반도체로 작동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부분적으로 산화된 텔루륨 박막으로 고성능 p형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TFT는 ... ...
뇌주름 닮은 '전극 소재', 고무처럼 늘어나고 내구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탄성체 나노상은 세탁 전후에도 초기
전도
도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우수한 내구성을 보인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고무처럼 늘어나면서 금속처럼 전기가 잘 통하는 첨단 바이오 신소재가 개발됐다. 뇌주름처럼 표면적을 증가시킨 나노구조를 갖고 있어 내구성 높은 신축성 전극 소재로 전자피부, ... ...
"내가 과학자인 것처럼"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대전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CES) 2024 출품작도 관람할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연계한 모형 판다 플래시몹 특별
전도
준비됐다. 축제 개막은 25일 저녁 7시에 엑스포시민광장 메인무대에서 진행된다.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진 과학공연과 소리꾼 김나영, 래퍼 ‘광어’, ‘SG워너비’ 맴버 겸 솔로 가수인 이석훈의 축하공연이 ... ...
‘질소’ 담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이차전지 음극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단점을 보완하고 고용량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며 “전지 전극의
전도
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존에 첨가되던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재(전자 흐르을 돕는 물질)를 넣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리튬 확산 속도가 중요한 전고체전지 ... ...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작용기를 도입해 중합도가 크고 결함이 적은 이차원 고분자를 합성했다. 이는 기존
전도
성 이차원 고분자보다 100배 이상 빠른 전자 이동속도를 보였다. 논문은 국제학술지 ‘켐’ 온라인판에 최근 실렸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장지욱, 장성연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토마스 F.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