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기술 개발 6개국 공동연구에 한국 5개 팀 선정…5년 간 25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5개국의 7개 바이오파운드리와 협력해 표준화된 핵심 워크플로를 개발하고 이를 첨단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에 적용한다. 한양대 연구팀은 기후변화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석유계-난분해성 플라스틱을 친환경-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생물 ... ...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쓰는 이솝우화
과학동아
l
2024.09.28
일종인 젤라틴은 물에 계속 노출되면 생분해가 시작됩니다. 박테리아나 곰팡이 같은
미생물
도 이 에어로겔의 구조를 깨뜨릴 수 있죠. 그러니까 북풍이 차가운 바람이 아닌 비바람으로 승부수를 띄웠다면 셋째 돼지 집도 길게 버티지 못하고 무너졌을 겁니다. 어쨌거나 다시 쓰는 동화입니다. ... ...
"핵심은 연구 속도"…10년 전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나선 일본의 조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빠르게 '제작(Build)'하고 △'테스트(Test)' 단계에서는 고속 분석 장비를 사용해 만들어진
미생물
을 평가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머신러닝 등을 통해 분석해 규칙을 추출하고 '학습(Learn)'해 다음 공정에서 설계를 개선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바이오파운드리다. 콘도 교수는 "바이오 물질 하나를 ... ...
3600년 전 미라 옆 치즈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락토바실루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현대의 같은 종과 비교해 지난 3600년 동안
미생물
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파악했다. 그 결과 락토바실루스는 다른 균주와 유전물질을 교환하며 점차 유전적 안정성과 발효 능력이 향상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현대의 락토바실루스가 과거보다 ... ...
"다이어트엔 칼로리보다 식사 시간 계산이 우선…비만치료제엔 회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의미한다. 생체리듬은 생물공학에서 흔한 주제가 아니다. 판다 교수는 "생체리듬은
미생물
부터 인간 등 모든 생명이 갖고 있는 시스템"이라면서 "시간을 조절해 생물학적인 문제의 답을 찾고 싶었다"고 말했다. 가장 주목을 받는 판다 교수의 성과는 현대인의 최대 난제인 '비만'을 시간 개념을 ... ...
밑반찬 재료 '꼬시래기'로 항공유·의약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레불린산으로 전환했다. 이후 연구팀이 개발한 개량 효소를 이용해 (R)-GVL을 생성했다.
미생물
을 발효시키는 기존 공정과 달리 효소 반응만으로 전구체를 만들 수 있어 같은 양의 바이오매스로 10배 많은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다. (R)-GVL의 원형인 감마 발레로락톤은 바이오항공유 외에도 고혈압 ... ...
갑오징어 추출물로 만든 필름, '완전 생분해'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연구팀은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해 박테리아가 인쇄 필름의 생분해에 관여해 퇴비
미생물
군집이 표면에 형성된 점도 확인했다. 인쇄 필름의 생분해 산물이 생태독성을 띠는지 조사하기 위해 쥐보리, 메리골드 2개 식물을 대상으로 독성 실험을 진행했다. 생분해된 필름을 퇴비로 뿌린 토양에서 ... ...
식이섬유 섭취 부족하면 스트레스·우울 위험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3
정신건강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의 일종인 식이섬유는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고 소화력을 높이며 염증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진 유익한 식품군 중 하나다. 연구팀은 한국인 유전체 역학 연구 코호트(KoGES)에 등록된 남성 4112명과 여성 7176명의 검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집, 농장, 농산물 창고에 기생하며 인간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공간에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연구팀은 설치류 종의 12%만이 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다. 또 사이언스는 섬에 사는 쥐를 대상으로 펼쳐진 세계적인 전쟁을 살펴봤다 ... ...
전세계 뒤흔든 'GLP-1 비만치료제' 개발한 의학자들, 래스커상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인 제임스 첸 교수는 포유류가 체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과 싸우고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주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첸 교수가 발견한 합성효소(cGAS)의 부적절한 활동은 자가면역과 염증성 질환의 핵심적인 발병원인으로 확인됐다. 합성효소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