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질
딱지
각질
깍지
shell
껍대기
껍때기
뉴스
"
껍데기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부엌]크루아상과 애플파이 맛의 비밀은?
2018.01.12
말려 있는 모양이 친숙합니다. 손으로 집으면 무척 가볍고, 손끝에 약간만 힘을 줘도
껍데기
가 얇게 부서져 가루가 날립니다. 그런데 속살은 무척 부드럽습니다. 크루아상을 반으로 잘라 단면을 들여다보면 그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종이보다 훨씬 얇은 빵 층이 겹겹이 쌓여 있습니다. ... ...
24K 얼굴에 황금칠하는 모델들
팝뉴스
l
2018.01.03
유명 모델들에게 아침에 황금 가면을 씌워준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가면보다는
껍데기
다. 24k 금을 얇게 얼굴에 붙여주는 것이다. 효과가 뛰어나다고 하고 비용은 35만원 가량이다.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주목을 받는다. ‘별 짓을 다 한다’는 투의 비난도 적지 않다. ‘니 돈이니까 ... ...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11.15
참여한 로저 한론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연구소 박사는 “두족류는 몸을 보호할 만한
껍데기
가 없는 부드러운 연체동물이고, 주요 방어 기제는 변신하는 피부”라며 “많은 동물들이 피부 돌기를 갖고 있지만 낙지나 오징어처럼 빠른 속도로 피부 돌기를 연장하거나 수축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 ...
종이와 달걀로 무거운 선반을 받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02
매우 약한 달걀
껍데기
가 무거운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도 아치형이기 때문이다. 달걀
껍데기
의 두께는 0.5mm도 채 되지 않지만, 아치형 덕분에 1개 당 수kg의 무게를 버틸 수 있다. 아치 모양은 인공 구조물뿐만 아니라 우리 인체의 곳곳에도 숨어 있다. 대표적으로 발바닥은 신체의 무게를 고스란히 ... ...
씨없는 굴이 더 크고 맛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7
굴은 화물선 등 선박에서 나는 10~200Hz(헤르츠) 영역 소음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껍데기
를 닫으면 먹이 활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 다만 소음이 굴의 성장에 치명적 영향을 준다고 결론짓기에는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다. 한 연구사는 “굴 생샨량은 굴이 알에서 깨어난 뒤 새끼 굴 상태로 물속을 ... ...
[WWDC 되짚어보기] 맥OS 하이시에라
2017.09.26
했다. 그 변화는 맥이 가야 하는 방향이자, 맥 이용자들이 원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꼭
껍데기
가 파격적으로 바뀌어야 새 운영체제는 아니다. 이제 또 다른 진화를 내다볼 수 있게 됐다. 매년 새삼스럽지만 놀라는 것은 이번 운영체제 업데이트 역시 2009년 이후 대부분의 맥에 적용된다는 점이다. ... ...
상어를 잡아먹는 심해 동물
팝뉴스
l
2017.09.18
동물이다. 갑각류에 속하는 동물로 몸을 공처럼 말아서 상어의 얼굴을 물었다. 조개가
껍데기
를 닫는 것과 비슷하다. 상어를 간단히 제압한 것으로 봐서, 이 등각류는 상당히 크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카드뉴스]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3
8cm 이하이다.
껍데기
위쪽에 뚫려 있는 구멍은 7~9개로 많은 편이다. 마대오분자기는
껍데기
에 굵은 고랑이 패어 거칠다. 쪄서 말린 전복 표면의 하얀 가루는 타우린입니다. 타우린은 피로회복제 성분으로 유명하며 담석을 녹여내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떨어뜨립니다. 또 전복은 신장과 심장의 기능을 ... ...
하늘 높이 물을 뿜는 분수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녹는다. 이렇게 염기성 물질과 산성 물질이 반응하는 것을 ‘중화반응’이라고 한다.
껍데기
가 녹으면서 드러난 달걀 안쪽의 막은 물 분자 같은 아주 작은 분자만을 통과시키는 ‘반투과성 막’이다. 그래서 껍질이 녹은 달걀을 물에 하루 담가두면 달걀이 터질 듯 부풀어오른다. 이 막을 통해 ... ...
계란이 타원형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쉽게 낳을 수 있다. 표면적도 작아 암컷이 알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도 덜 쓸 수 있다. 알
껍데기
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인데, 암컷은 알을 만들기 위해 자기 뼈의 칼슘을 쓴다. 닭이 알 1개 분량 껍질을 만들려면 몸 전체 칼슘의 10%가 필요하다. 구형 알은 어느 정도 외부 충격을 받아도 알이 구르면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