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쪽이든 4차원의 세계에 발을 들일 수만 있다면 빼앗긴 기쁨을 돌려받는 것, 아닌가?’국문학과 수학을 전공한 미연. 언어의 모호함과 다양한 해석이 품을 수 있는 힘에 대해서는 빠삭했다. 정의가 분명하지 않다면…… 그러면 이 ‘괴한’은 과연 어떻게 판단할까? 미연은 머리를 굴리다가 생각했다.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온도를 바탕으로 사람을 찾는다고 알려졌어요. 그런데 지난해 미국 워싱턴대학교 생물학과 제프리 리펠 교수팀은 한 가지 요소를 더 찾아냈습니다. 바로 색깔이지요. 연구진은 이집트숲모기 등 세 종류의 암컷 모기를 여러 색상의 점이 그려져 있는 터널 안에 넣었어요. 터널 안으로 이산화탄소를 ... ...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구 밖에도 생명체가 살아 숨쉬는 곳이 있을까?”인류는 우주로 탐사선을 보내 목성, 토성 등 외행성계에 ‘바다(물)’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어요. 바다에는 외계 생명체가 살 확률이 높아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지요. 최근 유럽우주국(ESA)은 바다와 생명의 흔적을 파헤치기 ... ...
-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후 유로파에 50회 가까이 근접 비행하며 탐사를 진행하지요. 영국 오픈대학교 행성지질학과 데이비드 로터리 교수는 “유로파 클리퍼는 얼음을 관통하는 레이더를 이용해 얼음층이 얇은 구역을 찾을 예정”이라며, “이는 추후 발사할 유로파 착륙선이 얼음층을 직접 뚫고 바다를 탐색할 최적의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왼쪽 사진). 이 충격적인 생김새의 발명품은 다니엘 프레스턴 미국 라이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의 ‘네크로봇’이다. 거미 ‘사체(necro-)’를 ‘로봇(robot)’으로 되살렸다는 의미에서 이름도 네크로봇으로 지었다. 도대체 어쩌다 죽은 거미를 재료로 로봇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 “인류는 오랜 세월 ... ...
- [가상인터뷰] 죽어서도 색 바꾸는 호그피쉬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무슨 말이죠?이번 연구를 진행한 로리안 슈바이커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월밍턴대 생물학과 교수는 박사후연구원 시절, 낚시 여행 중에 잡은 호그피쉬가 죽어서도 색깔을 바꾸는 광경을 목격했어요. 죽은 호그피쉬 피부색이 보트 갑판과 같은 색으로 변한거죠. 어떻게 그게 가능할지 궁금해진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곳에 붙어 실험을 하곤 한다”면서 “레이저 핵융합을 연구하는 방우석 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도 이곳에 있는 고체 타깃 레이저로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지만 잽싼 레이저과학 연구단의 ‘구축함’에 언젠가 또 하나의 태양이 떠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이어 찾아간 페타와트 레이저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속에 담아내는 청년 생태사진작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 중이다 ... ...
- [최신이슈] 모방 범죄 일으키는 유해 콘텐츠, 조정 효과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궈 치우 중국 난징대 공학 및 응용과학부 학생과 지지 사샤 동 미국 휴스턴대 건설관리학과 교수가 함께한 연구팀은 총기 난사로 인한 대량 학살 사건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2022년 발표했다. doi: 10.1016/j.cie.2022.108565 연구팀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총격 사건과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꼭 희석해서 맛봐야 해요.” 군침을 흘리는(?) 기자를 지켜보던 정서진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경고했다. 그러나 마음이 급했던 기자의 귀에는 들리지 않았다. 알룰로오스부터 숟가락에 손톱보다 적은 양을 떠서 입에 넣었다. 단맛이 느껴지지만, 생각보다 달진 않았다. 다음으로 맛본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