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탄산"(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체의 표면을 문질러 지문이 드러나게 하는 방법이지요. 여기서는 지문 파우더로 탄산수소나트륨이 쓰인답니다. 지문 파우더를 살살 뿌린 후 ‘블로어’의 바람을 이용해 지문 모양을 제외한 파우더를 제거해요. 그리고 클리어 테이프를 잘라 지문 자국에 붙였다 뗀 뒤, 지문 패드에 붙이면 지문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던 이산화탄소가 기권으로 방출되면서 지구내부에너지를 방출한다. 해수(수권)에 있던 탄산이온은 칼슘이온과 결합해 침전되면서 석회암을 만든다(지권). 대기중(기권)에 있던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에 의해 생물체에 흡수돼 탄소화합물을 만든다(생물권). 식물(생물권)이 죽은 사체가 퇴적되면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비밀“기네스 흑맥주 한 잔이요”.내게 완벽한 하루의 마무리는 맥주 한 잔이다. 나는 탄산이 강한 맥주보다는 풍미가 짙고 부드러운 흑맥주를 선호한다. 맛도 맛이지만 내가 이 맥주를 선호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가벼운 거품이 무거운 맥주 아래로 가라앉는 놀라운 마법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
- [과학뉴스] 달걀껍질, 병아리 나오기 직전 약해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유기물을 결결합하는 오스테오포틴(OPN) 단백질을 발견했다. OPN 단백질이 많을수록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껍질의 구멍이 나노미터 크기로 줄어들어 촘촘한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더 단단하다. 연구팀은 OPN 단백질을 높은 농도(5.9마이크로몰)에서 낮은 농도(0.9마이크로몰)로 조정하면서 이때 ... ...
- [Issue] 다이어트? 굶는 건 절대 안 돼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아니라는 거죠. 당을 추가로 넣은 음료를 ‘가당음료’라고 하는데 콜라,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를 비롯해 과일 주스, 이온 음료 등 주변에 너무나 많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첨가당이 가장 많은 음료는 바로 커피였습니다. 믹스커피나 시럽을 넣은 커피, 즉 카페라테나 카라멜 마키아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때문이지요. 탄산음료를 냉장고에서 꺼내 상온에 두면 김이 빠지는 것도 같은 원리예요. 탄산음료에는 이산화탄소 기체가 녹아 있는데,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이 기체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거예요.여름철 용존 산소량이 줄어드는 이유는 또 있어요.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한 기술 개발과 환경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지구 전체로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로 암석 속에 갇혀 있다. 동물의 호흡 등 생명 활동이나 화석 연료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지만, 일부는 바다 등 물속에 용해된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가 물에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후보 가운데 유일한 광고 음악입니다. 모델이 나와 신나게 춤을 추며 과일맛 탄산 음료인 ‘트로피카나 스파클링’을 광고합니다. 동시에 ‘오렌지, 톡! 톡! 톡! 트로피카나~’라는 가사를 간단한 멜로디에 맞춰 반복해서 불러요. 이 노래 속에 어떤 과학이 숨어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오렌지, 톡!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에요.탄산염은 칼슘과 결합해 탄산칼슘을 만드는 역할을 해요. 탄산칼슘은 소라게의 집이 되는 고둥껍데기뿐만 아니라 조개, 굴 등 해양생물들의 골격을 이루는 성분이에요. 즉, 해양 산성화가 심해지면 여러 해양생물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그 수도 감소할 수밖에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지질 활동의 긴 역사를 따라 4~5번의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리의 탄산염 광물인 남동석 결정이었다가, 지질 변화 과정에서 남동석은 빈 껍질만 남고 내부는 용해됐다. 이후 알 수 없는 지질 활동으로 충격을 받아 그 껍질이 쪼개졌다. 그런 뒤 능아연석으로 치환 되면서 쪼개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