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자"(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교신 저자는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배터리 효율을 올릴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매일 먹었으며, 김치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도 했다. 그로텐디크에게 김치를 알려준 건 제자였던 윤석임 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였다. 말구아르 교수에게 김치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묻자 다음과 같이 답했다. “그로텐디크 교수님의 집에서 직접 김치 담그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담가 나눠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변화 없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가설이다. 호일과 그의 제자 자이안트 날리카는 정상상태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중력 이론’을 발표했다. 하지만 호킹은 그 이론을 계산했을 때 질량과 관성질량이 모두 음(-)인 물체가 생긴다는 점을 지적했다. 관성질량은 물체에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존재와 원인이 증명됐다. 보단 팩진스키 미국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조절되는 현상을 관찰하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벤저 교수와 그의 제자인 로널드 코놉카 박사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초파리를 이용한 유전학적 실험법을 도입했다. 이 실험법은 초파리 염색체에 무작위로 유전자 변형을 일으킨 뒤,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 오세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자신의 첫 박사과정 제자인 이찬 연구원과 함께 ‘운동 도우미’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사람의 근기능을 측정한 뒤 개인별 맞춤 운동을 하도록 돕는 로봇이다. 이를 위해 외부 힘을 측정한 뒤, 그에 맞춰 모터에 명령을 내리는 모터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수 채용 면접실. 당시 이렇게 포부를 밝힌 황재윤 교수는 현재 자신의 첫 박사과정 제자인 김세웅 연구원과 함께 이 말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주로 병원에 설치된 대형 진단기기만큼 성능이 뛰어난 소형 모바일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여드름 피부, 붉은색, 노란색, 녹색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없어 보이죠? 사연은 이래요. 그로텐디크가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 교수로 재직할 당시 제자였던 윤석임 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가 김치 담그는 방법을 알려줬다고 해요. 김치가 워낙 인상적이었는지 1983년에는 김치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도 했죠. 잡학 박사: 저도 읽어본 적이 있어요. 프랑스어로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젤팩을 보여줘선 안 되네. 알겠나?”“네입, 장관님.”사실 저런 건방진 태도 때문에 수제자로 삼았었다. 그는 고분고분한 사람을 싫어했다, 반론을 하고 반격을 하고 어떻게든 자신이 틀렸음을 증명하려 드는 젊은이가 좋았다. 설사 상대가 저명한 외계 생물학자이자 과학부 장관이라도 아무 상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세울 수 없다고 추측했어요. 하지만 1959년 인도 출신 미국 수학자 라즈 찬드라 보스와 제자인 샤라드찬드라 쉬리칸데, 미국 수학자 어니스트 파커가 n이 10일 때 줄 세우는 방법을 찾으면서 오일러의 추측이 틀렸다는 게 밝혀졌지요. 이후 n이 2와 6일 때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줄세우기가 가능하다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