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자"(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하는 퍼즐로 확장했지요. 이후 2016년 미국 베닝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글렌 브러멜렌과 제자 하산 눈이 상대방과 겨루는 ‘게임’으로 만들었습니다. 게임 방법은 서로 다른 색의 퀸을 가진 두 사람이 번갈아가며 체스판 위에 퀸을 하나씩 놓는 겁니다. 단, 규칙이 있습니다. 퀸들은 콧대가 높아서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년간 풀리지 않던 5차 방정식 문제를 해결하고, ‘아벨의 정리’를 내놓았다. 또 하디의 제자로 있던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내용도 대부분 20대에 찾은 것이다. 이런 사례들 때문일까? 하디는 ‘50세 이후로 새로운 정리를 발견한 걸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말 50세 이후로 새로운 정리를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0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2018 필즈상 후보로 세드리크 빌라니 교수의 제자 알레시오 피갈리 교수(2018 수학동아 3월호)를 소개했었는데요, 피갈리 교수 역시 이번에 필즈상을 받기에는 몇 퍼센트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전했었습니다. 그런데 듀밀-코핀 교수와 피갈리 교수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데니스 시아마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교수의 제자가 됐다. 당시 그가 관심을 갖던 분야는 ‘우주론’과 ‘기본입자물리학’이었다. 기본입자물리학 분야는 실험과 관찰을 통해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는 반면, 우주론 분야는 아이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언 자신의 흥미를 따라가라 이병호 학부장은 제자이자 후배들에게 “자신의 흥미에 따라서 오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유행이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저 유행을 따라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다 보면 길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구경했다고 한다). 행운을 기회로 만든 과학자 호킹이 지도한 학생 중 한국인 제자는 없었다. 그러나 그의 연구 인생은 많은 동료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물리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의 가장 큰 업적은 블랙홀이 입자를 내놓는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다. 이 내용은 1974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힐베르트는 문제가 어렵다고 생각해서 23문제 중 하나로 골랐겠지만, 당시 힐베르트의 제자였던 막스 덴이 곧바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덴은 다면체를 자르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 도형의 성질에 ‘덴 불변량’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 값을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이 값이 다른 다면체가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정치가로 변신해 화제를 모은 프랑스 수학자이자 필즈상 수상자 세드릭 빌라니 교수의 제자 알레시오 피갈리 교수 입니다. 혹자는 빌라니 교수만큼 지식을 스폰지 처럼 잘 흡수한다고 하는데요, 젊은 나이에 여러 성과를 올린 잘나가는 수학자지만 언제나 겸손하고 성격도 유쾌해 주위에 사람이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몰랐다고 합니다. 너무나도 평범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없었던 거지요. 단지 친한 교수의 제자 중 하나로만 여겼답니다. 그랬던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케플러 추측을 풀었다고 들었을 때는 정말 깜짝 놀랐다고 밝혔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언론 인터뷰를 한 적도 거의 없고, 어린 시절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베트남 기자는 응오 교수를 지도했던 프랑스 수학자 제라르 로몽 교수 제자 중에 정수론의 주요 문제를 푼 인재가 있다며 모렐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렐이 수상자가 되면 로몽 교수는 2002년의 로랑 라포르그까지 합쳐 3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지도자가 된다며 호들갑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