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사
구실
핑계
이수
d라이브러리
"
이륙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내다봤다.그렇다면 PAV는 미래에 어떻게 목적지까지 날아가게 될까. 관제국은
이륙
을 요청한 PAV와 무선신호를 주고받으며 일단 제어권을 얻어온다. 그리고 사고 위험이 가장 적은 항로와 속도를 결정해 PAV를 사람 대신 조종한다. 날씨나 다른 항공기의 접근여부 등을 수시로 판단해 위급상황에도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고안하고 있다. 짧은 거리를 달려
이륙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비행기가 뜨기 직전에 수직
이륙
을 하면 연료가 비교적 적게 든다는 생각에서다. 결국 활주로의 길이는 지금보다 짧아질 것이다. 과학자들은 비행 중에 바다 위에 잠시 착륙할 수 있도록 배처럼 물에 떠 있는 짧은 활주로를 구상하기도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어서 지구로 귀환 할 때는 음속의 25배 속도까지 견딜 수 있다.X-37B는 지난 해 4월 22일
이륙
했다. 5월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9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속도로 280~440km의 저궤도 상공을 계속해서 돌고 있다”는 관측 결과를 발표해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됐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4일에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만든 발사체 ‘소유즈’는 발사 29초 만에, 미국이 1957년에 쏜 위성발사체 ‘뱅가드’는
이륙
2초 만에 폭발했지. 한국도 두 번의 실패를 밑거름으로 계속 연구를 하다 보면 목표한 대로 2020년에는 한국의 힘으로 만든 나로 호2를 쏠 수 있을 거야. 그 때까지 우리도 한국 국민들과 함께 응원하자구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시간 오전 9시. 미국 시카고 국제공항에서 인천행 여객기가
이륙
한다. 미시간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지점까지 한 바퀴 돈 비행기는 서쪽으로 방향을 튼 뒤 서서히 고도를 높인다. 그리고 가속. 태평양 한 가운데를 통과하는 순간 계기판의 속도계는 마하6(시속 7344km)을 가리키고 있다. 인천공항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속 200km만 돼도 드라이버의 시야가 흐려지는데, 시속 360km이면 머신에 날개가 있을 경우
이륙
할 수도 있다.머신을 초고속으로 달리게 하는 힘은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에서 나온다. F1 머신의 엔진은 8기통 2.4L를 사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여기서 나오는 출력은 750~800마력에 달한다. 같은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받게 된다. 또, 2단 로켓에서 분리될 때까지 최대 초당 9㎞의 속도로 날아가면서 비행기가
이륙
할 때의 엔진 소리보다 3배나 큰 소리 충격을 받는다. 이런 진동을 잘 견딜 수 있는지, 충격을 받은 다음에도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시험을 거친 다음에는 영하 190℃에서 영상 150℃까지 변하는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배제할 수는 없다.실패원인 두고 한·러 공방나로호는 지난해 8월 25일 첫 발사에서
이륙
216초 뒤 페어링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제 궤도에 올리는데 실패했다. 비록 첫 발사에 실패했지만 나로호 1차 발사는 국내 연구진이 적잖은 로켓 발사 노하우를 축적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1차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추락했다.두 번째 시도는 지난 6월 10일에 이뤄졌다. 그러나
이륙
한 지 137초 만에 고도 70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폭발해 추락했다. 해군이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나로호의 잔해를 찾아 냈지만, 아직 1단 로켓이 폭발한 이유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러시아는 나로호의 실패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떻게 분리되고 어느 순간에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지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다.
이륙
한 지 수십 초만 지나도 로켓은 하늘을 뚫고 올라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자연과 상상력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