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사
구실
핑계
이수
d라이브러리
"
이륙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쭈욱 당겼다가 슈웅! 종이로켓 나로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번째 나로호는 인공위성 보호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하는 데 실패했고, 두 번째 나로호는
이륙
한 지 약 137초 뒤에 폭발하고 말았단다. 아! 정말 안타깝네요. 나로호와 똑같이 생긴 종이로켓을 만들어 하늘로 슝슝 날리며 세 번째 발사를 앞두고 있는 나로호에게 힘을 실어 주는 게 어떨까? 지금 바로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7시 10분 내에서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발사가 순조롭게 이뤄진 후 눈여겨 봐야 할 지점은
이륙
후 215초다. 이 때는 위성을 감싸고 있는 페어링이 분리되는 시점이다. 앞서 언급한 저전압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대다.페어링이 정상적으로 분리된 후 395초 지점에서는 2단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모든 준비가 막바지였던 2000년 3월, 남은 것은 진동테스트다. 망원경은 항공기에 매달려
이륙
하고 상공에서 미사일 발사체에 실려 날아가야 하는데 그 과정에 다양한 진동이 일어나 기계에 큰 무리를 준다. 이를 위한 진동테스트는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북쪽에 있는 제트추진연구소에서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대가 깨지는 데는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이륙
한 비행기가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 마다가스카르 상공에 들어선 순간 나는 이미 알았다. 마다가스카르는 밀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사바나 평원에 가깝다는 사실을. 1950년만 해도 전 국토의 65%를 차지하던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부품을 나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때로 우주왕복선을 싣고 날았죠. 이 비행기는 최대
이륙
중량이 600톤입니다. 엄청난 무게 때문에 착륙바퀴는 32개나 됩니다. 미래에는 큰 비행기에 우주 왕복 장비들을 부착해 우주 비행체의 발사체로도 이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고가의 무기와 첨단 전자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안 생겨요. 대신 컴퓨터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해야 해요. 자동항법장치는 최근에 착륙과
이륙
도 대신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고 있어요.그런데 자동항법장치 이용이 늘면서 조종사들이 조종법을 잊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대요. 미국연방항공청(FAA)은 올해 8월 전체 사고의 60% 이상이 조종사들이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뻗어 땅을 박차고, 그 반작용으로 로봇의 몸(상체)을 하늘로 날려 보내 주어야 합니다(
이륙
). 다음 발돋움을 준비하기 위해 로봇이 공중에 떠 있는 영점 몇 초의 짧은 시간 동안 반대 쪽 다리를 앞으로 가지고 와(공중동작), 그 발로 땅에 내려서야 합니다(착륙). 그리고 무릎과 발목을 구부린 뒤 ... ...
로봇으로 시조새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보다 훨씬 멀리 날았다.날갯짓을 하면 달리는 속도도 90% 빨라졌다. 하지만 바닥에서
이륙
하기 위해서는 속도가 활강할 때의 4배 정도여야 한다. 날갯짓하며 달리는 것만으로는 날기 어렵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조류의 비행법이 활강에서 진화했다는 간접적인 증거”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하잖아. 나는 우주선에 탑승하는 방법을 찾는 데만 수개월이 걸렸어. 우주왕복선이
이륙
할 때 내부에는 지구 중력의 세 배에 해당하는 힘이 가해져. 그때의 격렬한 진동과 충격에서 안전하려면 내 몸을 이중, 삼중으로 감싸야 하지. 게다가 내가 좀 무거운 편이잖아. 보호 장비까지 더하면 230kg에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비행한 궤적 지구를 한 바퀴 돌았지만 지구가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착륙 지점이
이륙
지점보다 약간 서쪽에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마냥 우울하게 바라보고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인 소련이 이미 어느 정도 발전된 미사일 기술을 바탕으로 쏘아 올린 것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