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지
마부츠
Western
western
weston
d라이브러리
"
웨스턴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모순된 진술을 무시하려고 애썼다. 이때 그들의 뇌에서도 놀라운 현상이 벌어졌다.
웨스턴
교수는 “뇌의 이성네트워크는 조용했지만 감정네트워크는 불을 밝힌 듯 환하게 켜졌다”고 비유적으로 말했다.감정을 조절하는 안와전두피질과 갈등을 해소하는 전측대상피질, 도덕적 판단을 내리거나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배터리로 쓸 수 있는 초강력 종이가 탄생했다.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응용공학부 로드니 루오프 교수 연구팀은 매우 튼튼한 산화그라펜 종이를 만들었다고 ‘네이처’ 7월 26일 자에 발표했다. 그라펜(graphene)은 여러 개의 탄소층으로 된 흑연에서 한 장의 탄소층만 분리한 것이다.두께는 20만개가 모여야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남자는 심장마비 같은 심혈관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재릿 베리 박사와 필립 그린랜드 박사가 ‘역학회보’(Annals of Epidemiology) 7월호에서 수줍음이 많아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남성은 외향적이고 사교성이 좋은 남성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50%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체인점이 벌써 248개이고, 일식 전문‘V-재팬’, 중식 전문‘V-차이나’, 양식 전문‘V-
웨스턴
’한식 전문‘V-코리아’로 세분화됐습니다. 로봇들의 애환을 그린 방송용 애니메이션이 50부작으로 제작돼 주목을 받았고 소설과 만화는 물론 캐릭터 사업까지 돌풍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V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살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호주 로얄멜버른 병원 로빈 워렌 박사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대 배리 마샬 박사가 통념을 깼다. 워렌 박사와 마샬 박사는 1979년 위 속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이 공로로 1995년 노벨 의학상을 공동으로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호기심이 노벨상으로 이어진 대표적 사례는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 업적이다.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대 의대 배리 마셜 교수는 1982년 5일간 부활절 휴가를 지낸 뒤 실험실에 돌아와 보니 방치해뒀던 위 점막 샘플에서 박테리아가 자라있는 걸 발견했다. 이것이 위궤양을 일으키는 원인균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0.25) 정도 넣을 수 있다.어림은 인공지능, 상업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최근 미국 노스
웨스턴
대의 프라빈 패리토시 교수는 어림을 응용한 인공지능 연구를 하고 있다. 패리토시 교수가 참여한 프로젝트의 최종목적은 어림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그는 현재 ... ...
애완동물이 어린이 위장염 막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어린이의 위장염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대 제인헤이워스 교수팀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발간하는‘전염병학과 감염병’(Epidemiology and Infection) 10월호에 애완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어린이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보다 위장염에 덜 걸린다는 ... ...
태권V 생각만으로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어렵다.BMI 기술은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됐다. 미국 클리블랜드 케이스
웨스턴
대의 헌터 패컴 박사는 뇌신경세포의 전기신호를 조절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컴퓨터 화면에서 커서를 생각에 따라 움직이게 하는 정도밖에 할 수 없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뇌파를 기록하는 ... ...
배고픈 참새의 슬픈 노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못한 참새는 멋진 이성을 사로잡는 노래를 부를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캐나다
웨스턴
온타리오대 스코트 맥두걸-새클턴 교수팀은 태어난지 26일 된 참새를 조사한 결과 제대로 먹지 못한 참새는 배불리 먹고 자란 참새에 비해 뇌에서 ‘고음중추’(high vocal centre)의 성장이 부진하다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