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지
마부츠
Western
western
weston
d라이브러리
"
웨스턴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금 같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없다. 메가네우라가 거대했던 이유를 미국 미드
웨스턴
대 생리학과의 알렉산더 카이저 교수는“고대 대기에는 산소가 31~35% 가량 들어 있어 곤충, 특히 잠자리가 호흡하는 데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곤충은 다리에 퍼져 있는 호흡기관에 공기를 꽉 채운 다음, 세포로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단층이 약해지면 응력의 변화에 취약해져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미국 노스
웨스턴
대의 세스 스테인 교수도 2009년 11월 ‘네이처’에서 “최근 많은 지진들은 과거 수백 년 전에 일어났던 거대한 지진들의 여진일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대부분의 강진들은 판의 경계면에서 ... ...
온난화 막으려다 죽음의 바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나왔다. 자칫하면 포유류를 비롯한 해양 생물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영국
웨스턴
온타리오대 찰스 트릭 교수는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바다에 뿌리는 철가루가, 독소를 내뿜는 플랑크톤을 먹여 살리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5일자에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들 기관이 산소를 몸 곳곳에 충분히 공급하면서 몸집이 커졌다는 얘기다. 미국 미드
웨스턴
대 알렉산더 카이저 교수는 2007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거대 곤충들의 기관은 지금보다 얇고 더 컸다”며“산소를 몸 전체와 다리 곳곳에 전달하기에 충분했을 것이고 몸집도 점점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 치료제로 승인받을 수 있다.스웨덴 룬트줄기세포센터 올레 린드발 박사와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 생명윤리과 현인수 교수 는 지난해 ‘사이언스’ 6월 26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혁신적인 치료를 받기 위해 외국을 나가는 경우와 문제가 많은 ‘줄기세포 투어(stem cell tourism)’를 구분해야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붙으면 면처럼 탄력이 생기는 특성을 이용해 ‘와인으로만 만든 드레스’도 있다.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자연농업과학과 게리 캐스 교수와 호주 에디트 코완대의 동시대 현대아티스트 도나 프랭클린은 마이크로비(Micro‘be’)라는 연구팀을 만들어 와인드레스를 개발하고 있다.그들은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됐다. 현재 미국 세티 연구소,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하버드대, 프린스턴대와 호주
웨스턴
시드니대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한국도 독자적인 세티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 외계인도 전파로 통신할 가능성과학자들이 고도의 기술문명을 지닌 외계인의 증거를 전파의 유무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열차 앞을 달리면서 선로에 문제점이 있는지를 기관사에게 알렸다. 1874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서 열차 충돌사고가 발생한 뒤에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열차의 통과와 진입을 알리는 일종의 운전허가증인 ‘통표’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대의 열차 선로들은 궤도회로를 이용한다.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맥놀이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유재준 교수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노스
웨스턴
대에서 고온초전도 물질의 전자구조 이론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물성이론과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심각한 장애가 오는 반면 여성은 상대적으로 언어능력 손상이 덜한 이유다.미국 노스
웨스턴
대 커뮤니케이션과학과 더글러스 버만 박사팀은 여학생과 남학생이 언어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해 신경과학저널인 ‘뉴로사이콜로지아’ 5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9~15세인 남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