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작
조종
작업
드라이브
운용
몰기
일
d라이브러리
"
운전
"(으)로 총 1,0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상용화됩니다. 지금 나오는 2단계 자율주행차는
운전
자의 주행을 보조할 뿐 직접
운전
하지 않는데, 3단계에서는 직접 주행하기 때문에 주변을 인식하는 센서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센서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공하는 두 명의 SW 전문가를 만났습니다. 어떤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실생활에 응용하기 시작했답니다. 대표적인 예가 시속 최고 330km로 달리는 고속열차 KTX
운전
석 앞부분에 있는 충격 흡수 장치예요. 기차가 아주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다른 구조물과 부딪혀도 충격을 80%나 흡수해주죠. 같은 이유로 비행기를 만들 때도 벌집 모양의 장치를 이용한답니다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이 소리는 차량 뒤편에 보이지 않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소리의 빈도나 높이로 표현해
운전
자에게 충돌 위험을 알려요. 이렇게 데이터를 소리로 바꿔주는 기술을 ‘소리화’라고 하지요.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은 소리화 기술을 연구나 작품에 적극 사용해요. 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소리로 ... ...
[탐험대학] 공학자의 태도로 끝내 완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도로는 어때야 하는지 몸소 깨닫는 시간이었지요.도로를 고치자 자율주행차를 수동으로
운전
하는 게 훨씬 쉬워졌어요. 수동 주행을 십여 번 마치고 자동차의 오렌지 파이를 모니터에 다시 연결하자, 총 2402장의 사진이 찍혀있었어요. 장혁 멘토와 학생들은 이 데이터로 오렌지 파이의 인공지능을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1시, 아문젠해에 도착해 연구를 막 시작한 아라온호로 다급한 구조 요청이 들어왔어요.
운전
대 고장으로 얼음에 갇힌 어선 707홍진호의 호출이었죠. 1900여 km 떨어진 곳에서 들려온 707홍진호의 호출에 아라온호은 진행 중이던 연구를 멈추고 곧장 출동했어요. 조난 위치까지 최단 시간에 도착하기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포스를 내뿜었습니다. 긱블 메이커 스페이스의 대문을 활짝 열고 바깥에서부터 차를
운전
해 입장했기 때문이죠. 세 명의 고등학교 친구들이 협동해 만든 이 작품은 무려 1년 만에 완성됐습니다. 바퀴, 축, 베어링 등 부품들을 여유가 될 때마다 하나씩 사서 일일이 조립했습니다. 시동을 걸면 전면에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있다. 한국의 역할은 ITER가 건설된 후에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특히 한국의 플라스마
운전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Q. 마지막으로 한국의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런 핵융합 에너지가 완성되는 과정을 직접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입니다. 이외에도 플라스마를
운전
하는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술 등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박차를 가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선 현재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술을 활용하면 고온의 플라스마를 토카막 내부에 닿지 않게 공중에 띄워 안정적으로
운전
할 수 있다. KSTAR 이전에 유럽과 일본 등에서 상온 자석으로 구현했던 장치는 플라스마 유지에 제한이 많았다. ITER에는 상온 자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니오븀주석(Nb3Sn) 재질의 초전도 자석을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멈출 수 있다. 핵융합 발전소는 연료 공급이 중단되면 플라스마가 사라지며 자동으로
운전
이 차단된다. 핵분열처럼 통제할 수 없는 연쇄 반응 때문에 원자로가 녹고 방사성 물질이 새어 나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핵융합은 그야말로 ‘꿈의 에너지’다. 다양한 종류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