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푼
숟갈
수저
숫가락
d라이브러리
"
숟가락
"(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다’ ‘위가 막혀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한 증상이 있으면 생강즙 반 홉에 꿀 한
숟가락
을 넣고 달여 끓여 3번 복용한다’ 등이 바로 그것이다.오늘날 최고 식품으로 꼽히는 우유의 효험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 ‘병을 앓은 후에 허약해진 체력을 회복하려면 소젖 1되와 물을 넣고 끓여 졸여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알게 된다. 즉 ‘놀이’의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곰인형을 토닥거리며 말을 걸고 빈
숟가락
을 들고 “자, 맘마 먹자”라고 말하며 떠 먹이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자폐아는 이런 연극을 할 줄 모른다. 영화에서 초원이의 바보 같은 모습을 보고 한심해하던 코치가 거짓을 모르는 초원이의 순수한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대 변화가 올 것이라는 것이다. 직접 맛을 보지 않고도 간을 맞출 수 있는 전자센서
숟가락
이나 요리 재료를 넣으면 알아서 조리방법을 찾는 전자레인지가 바로 그런 사례다.커쇼는 “이같은 기술적인 진보가 앞으로 조리 방법뿐 아니라 쇼핑 방식이나 여가 생활, 업무 방법 등 일상생활 전반을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저으면 가운데가 오목하게 패이면서 소용돌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숟가락
으로 말고, 그냥 컵을 회전시킨다면 물의 표면은 어떤 모양이 될까. 이것이 바로 포물면이다. 점성이 없는 낟알이나 액체를 비커에 넣고 회전시키면 포물면이 만들어진다. 이 방법을 망원경의 접시를 ... ...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차가운 물로 ‘살살’ 고루 섞어야 한다. 글루텐의 함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반죽을
숟가락
으로 열심히 휘저을수록 끈기가 많아져 튀김이 잘 되지 않거나 튀김의 부드러운 맛을 저해하기 때문이다.특히 낮은 온도의 물로 반죽할수록 글루텐의 활성을 막아주므로 반죽용 물에 얼음을 섞는 것도 좋은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관을 지키는 돌짐승의 머리에 꽂혀 있는 철제 장식이 부러지고 바닥에 흩어져 있던 청동
숟가락
하나가 밟혀 부러지는 불상사가 발생했다.어쨌든 무령왕릉의 발견은 순식간에 전국으로 전해지고 세상의 이목이 온통 공주로 쏠렸다. 더구나 TV 방송이 나간 후에는 전국에서 사람들이 모여들기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난간 꼭대기에 작은 모형비행기처럼 생긴 풍향계가 조금씩 방향을 바꾸고 풍속계에서는
숟가락
처럼 붙은 프로펠러가 쉼 없이 돌아가고 있다. 그리고 바닥에는 양동이처럼 생긴 우량계가 설치돼 있다. 풍향계가 가리키는 방향이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며 프로펠러가 도는 속도를 통해 풍속을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잎사귀 모양이었으나 점점 진화해 카마라사우루스에서는 톱니모양의 돌기는 없어지고
숟가락
형태를 이뤘다. 이러한 이빨들은 더 진화해 앞 주둥이에만 생겨났고 모양도 연필같이 길쭉해졌다. 물론 이러한 이빨로는 씹지를 못하고 가지에서 나뭇잎을 갈퀴로 훑는 정도였다. 새의 조상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종일 것으로 여긴다. 다른 백악기의 용각류 공룡과 달리 작은 나뭇가지를 따는데 유리한
숟가락
형태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12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진 비교적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복잡한 척추뼈를 가지고 있지만 등뼈와 꼬리는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용각류인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왼쪽을 뜻하는 sinister는 불길함과 사악함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어렸을 때 왼손으로
숟가락
질을 하면 ‘복 달아난다’고 핀잔하며 기어코 오른쪽을 쓰게 만드는 우리나라에 비해 서양에서는 그다지 심하게 오른쪽을 강요하지 않는다.왼손 글씨로 기록을 남긴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르네상스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