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시작했습니다. 영어로 ‘선원’이라는 뜻을 가진 네비게이터를 별칭으로 쓴 이유는 16
세기
영국 수학자 존 네이피어를 알리기 위해서예요. 당시 정확하지 않은 천문학 지식으로 길을 찾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 선원이 많았는데, 네이피어가 ‘로그’를 발명해 천문학자의 계산을 쉽게 만든 덕분에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좀 더 나은 증명 방식을 찾기 위한 새로운 도전은 없었나요? 인문학자 : 물론 있었죠. 5
세기
에 활동했던 고대 그리스 철학자이자 신플라톤주의자 프로클로스가 에우클레이데스의 1권의 주석서를 썼습니다. 이를 통해 이 세상에 나온 지 800년이 지난 당시 사람들이 원론의 내용을 어떻게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사람이 당연히 수학도 연구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인데요. 뉴턴이 살던 17, 18
세기
를 너머 20
세기
에 접어들었을 땐 수학과 물리학이 각각 고도로 분화됐어요. 수학자와 물리학자는 마치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처럼 의사소통하기 어려워졌지요. 하지만 1980, 90년대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가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대신 에콜 프레파라투아르에 입학합니다.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했지만 그는 18살에 수
세기
동안 수학자들을 괴롭혔던 수학 문제를 하룻밤 만에 해결했어요. 5차 이상의 고차 방정식에는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지요. 그 과정에서 대칭에 관해 연구하는 군론의 토대가 만들어집니다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확률을 계산해요.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20
세기
폴란드계 미국인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묘사하기 위해 처음 고안했어요. 확률은 도박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됐다보니 당시 카지노로 유명한 도시인 모나코의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더 짧은 펄스인 젭토초(10해분의 1초) 펄스 연구도 활발하다. “초강력 레이저는 21
세기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이끌어낼 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이곳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강력한 빛으로 새로운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죠.” 김철민 연구위원의 강연으로 랩투어가 시작됐다. 초강력 레이저의 ... ...
무작위하다는 강력한 믿음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세기
엔 통계학자 칼 피어슨이 동전을 2만 4000번 던져 1만 2012번 뒷면이 나온다는 사실을, 20
세기
엔 영국 수학자 존 케리치가 동전을 1만 번 던져 5067번 앞면이 나온다는 결과를 얻었다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이 이야기를 읽는 사람 중 2100년까지 살아있을 사람은 몇 없을 것이나, 그것이 우리가 22
세기
의 미래 세대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백신을 뽑아 다른 사람들에게 접종하는 방식이었다. 조선에 인두법이 소개된 때는 18
세기
초엽이었다. 이때부터 1894년 우두법이 종두법(천연두 예방접종)의 공식적인 용어로 확정되기 이전까지 종두법이란 인두법을 의미했다. 지석영이 우두법을 전파시키던 1880년대, 조선 정부가 우두법을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우주배경복사에 대해서도 우주 팽창률은 조금씩 바뀔 수 있다. 지상 관측만 가능했던 20
세기
중반까지 우주의 팽창률은 그 추정치가 50km/s/Mpc(메가파섹1Mpc은 천문학적 거리 단위로 약 326만 광년)에서 100km/s/Mpc까지 오차 범위가 아주 컸다. 하지만 1990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올라가면서 은하들의 후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