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사성물질"(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38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한 행사에서 자신의 제자인 에토레 마요라나를 이렇게 평했다. “과학자들은 몇 가지 부류로 나뉩니다. 이류, 삼류 과학자들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 하지만 높은 수준에 도달하진 못하죠. 일류 과학자들은 중요한 발견을 해내는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일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17년 정유년이 밝았다. 중국과 아시아 등의 한자문화권에서 발달한 ‘십간 십이지’에 따르면, ‘정’은 빨간색이고 ‘유’는 닭을 뜻한다. 올해는 일 갑자(60년)에 한 번 찾아오는 붉은 닭의 해다. 동양 사람들은 옛적부터 붉은 닭을 특별히 여겼다. 미래를 내다보듯 제 시간에 우는 습성은 진리에 ...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유물의 정체를 찾아라!바다에서 발굴된 유물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이동되어 보존처리와 복원과정을 거쳐 원래의 모습으로 재탄생돼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유물이 묻혔을 당시의 상황을 추측해 볼 수도 있지요.실제로 2012년 발견된 소소승자총통은 *명문을 통해 1588년에 만들어진 총이라는 ... ...
- Intro. 목성을 비밀을 밝혀라! 탐사선 ‘주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아, 아! 마이크 체크! 우리 목소리가 들리니? 이곳은 태양계의 거대한 행성 목성이고, 우리는 목성 탐사선 ‘주노(Juno)’에 타고 있는 레고들이야. 지난 7월 5일, 주노가 목성 궤도에 무사히 진입한 뒤로 지금까지 목성 궤도를 유유히 돌고 있지. 주노는 앞으로 약 1년 반 동안 목성을 총 37바퀴 돌 거야. ... ...
- Part 1. 주노는 왜 목성으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목성은 거대한 크기 덕분에 관찰이 쉬웠어. 목성에 있는 줄무늬를 관찰했다는 기록이 약 400년 전부터 존재했을 정도지. 하지만 목성은 겉모습 이외엔 밝혀진 것이 별로 없는 수수께끼 행성이기도 해. 그 수수께끼를 풀러 주노가 목성으로 간 거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목성을 비 ... ...
- Part 3. 미션 ➋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얻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주노는 태양전지를 달고 가장 먼 곳으로 날아간 탐사선이에요. 지금까진 목성처럼 지구와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이동하는 탐사선들 대부분이 플루토늄을 재료로 하는 핵연료를 사용했지요. 핵연료는 다른 연료들에 비해 가볍고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이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답니다. ... ...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치밀하게 계산된 주노의 궤도주노가 목성을 도는 공전 궤도는 강력한 방사성 물질에 대비하도록 짜여 있어요. 우선 주노의 공전 궤도는 자전 방향에 수직으로, 커다란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지요. 타원 궤도의 중앙이 아닌 끝부분에 목성이 있답니다. 이런 궤도 덕분에 14일에 한 바퀴씩 목성을 돌 ... ...
- Part 1. 백해무익,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담배에 바퀴벌레 살충제가 들어 있다고?!“콜록콜록~!” 담배 피우는 사람 옆에 있다가 담배 연기를 맡게 되면 기침이 나고 코가 매워요. 담배 연기 속의 해로운 물질이 코와 기도, 폐 등을 자극했기 때문이에요.담배에는 약 4700여 가지의 유해 물질이 들어 있어요. 바퀴벌레 살충제에 쓰이는 니코틴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번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깨끗한 물을 얻기 힘든 사람들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하려면? 먼저 기술 발전을 이룬 나라가 노하우를 전해주면 어떨까.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공동 주최한 ‘한-UNDP 협력사업’이 시작됐다. 6월 29일과 30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