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인"(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결과를 보고 있었다. 줄리아는 엄격하지만 똑똑하고 매력적인 40대 초반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교관이다.“김선홍 대원님, 결과가 나쁘지 않네요. 그렇지만 우주비행을 하는 동안 골밀도가 낮아졌어요.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으니 방심하면 안돼요.”눈인사도 나누기 전에 날아온 지적. 그런데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나가기 위해 당연한 일이고 이것이 진정한 외교가 아닐까요.”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환자 4명을 모두 살려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병원이 있다. 미국 조지아 주의 에모리대 병원이다. 이곳 신약개발센터 소장은 재미한국인 과학자인 김백 박사다. 지난해 9월부터 에볼라 치료제 개발에 ... ...
- INTRO. 노벨과학상 2014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 찰스 리도 후보에 올라 어느 때보다 기대가 컸던 올해 노벨 과학상. 어떤 과학자가 영예를 안았는지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지금 테러와 전쟁 중이다. 최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인 ‘이슬람국가(IS)’가 미국인과 유럽인을 잔혹하게 참수하고, 미국과 프랑스에서 지하철 테러를 계획한 사실이 드러났다. 우리나라도 북한에게 수차례 사이버테러 공격을 받은 바 있다.일단 테러가 일어나면 그것이 폭탄 테러이건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 중국 베이징유전체연구소는 19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스티븐 추 교수(중국계 미국인)와, 영국의 유전학자인 로버트 플로민 교수하고 손을 잡고 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를 기획했다.연구팀은 본래 국제수학·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 모두를 대상으로 유전체를 분석하려고 했다. 하지만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한 사냥꾼이 바이러스에 처음으로 감염된다. 사냥꾼을 치료하다 전염된 의사는 홍콩에서 미국인과 캐나다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긴다. 그렇게 밀림에서 전 세계로 순식간에 바이러스가 퍼진다. 잘 살펴보면 이번 사태와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사람이 숲 속 깊숙이 살고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한 점,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치료제다. 물론 지맵이 정말 에볼라 치료제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지맵을 투여 받은 미국인 두 명이 빠르게 낫고 있지만, 아직 부작용이 검증되지 않았다. 원숭이 실험에서만 치료효과가 확인됐을 뿐이다. 다만 분명히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지맵은 ‘식물공장’에서 만든다. 그동안 의약품 생산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어 앰뷸런스가 없다7월 말, 미국인 의사 켄트 브랜틀리와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이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미국 정부는 8월 초 ‘에어 앰뷸런스’를 파견한다. 에어 앰뷸런스는 각종 의료기기가 설치돼 있는 ‘하늘 위의 구급차’다. 미국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현재 신약 ...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중요한 이론이 발표됩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이론물리학을 연구하던 중국인 양전닝과 미국인 로버트 밀스는 뇌터의 정리에 역도 성립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물리적 힘에 대한 대칭을 찾았으니 무언가 보존되는 물리량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두 사람은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수 있지요.올해 세계수학자대회의 초청강연자 수는 총 209명으로, 필즈상과 마찬가지로 미국인과 프랑스인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초청강연자 수는 2006년 3명, 2010년 2명, 2014년 6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인데, 개최국의 경우 초청강연자 수가 거의 항상 상위 10개국 안에 듭니다. 올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