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신
물귀신
호신
윤리학
접수
수신 상태
강의신
d라이브러리
"
수신
"(으)로 총 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02
빛이 초점에 모입니다. 곧 오목거울의 단면이 포물선이라는 뜻이지요.만약 초점이
수신
기지에 정확히 맞지 않으면 에너지 빔은 지구 표면에 떨어져 큰 피해를 입힐 것입니다. 이런 위기를 큐티는 어떻게 넘겼던 걸까요? 알고 보면 단순합니다. 큐티는 단지 주인님이라고 여겼던 에너지 전송 장치의 ... ...
최강! 로봇 원정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 용진이의 훈련 기록장 무선 로봇의 조종 원리!휴노의 머리 부분에는 리모컨의 명령을
수신
할 수 있는 센서가 달려있어. 리모컨을 이용해서 좌우 앞뒤로 이동할 수 있어. 그것뿐만이 아니야. 컴퓨터로 내가 원하는 동작을 만들어 리모컨의 번호로 저장한 다음, 그 번호를 누르면 내가 만든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01
완성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레이더 우주감시 능력을 확보하고 소형 정찰위성, 위성영상
수신
체계를 갖추는 것이 그 다음 단계다. 유사시 대형 수송기에서 소형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우주발사체 공중발사 기술’도 이즈음 도입할 계획이다.2030년 이후에는 국산 위성을 보호하고 한반도 상공을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러시아 극동의 시베리아호랑이가 살고 있는 지역. ▲ 대원들이 호랑이에게 무선 전파
수신
기를 달고 있다. ▲ 대원들이 수거한 올가미. ▲ 대원들이 호랑이의 신체 크기를 재고 있다. ▲ 눈 위에 찍힌 호랑이 발자국. 어른 손바닥을 벌린 정도의 크기로, 발자국 간격은 약 80~90㎝이다.살아갈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12
충격파(진동수가 작은 저주파)를 일으키는 장치다. 해저면에 부딪혀 돌아오는 탄성파를
수신
하면 바다 밑을 파지 않더라도 해저면의 단층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를 통과한 저주파는 해저면의 지층을 만나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한다. 투과한 저주파가 암반을 만나면 다시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배 근처 물에 잠기게 한 뒤 심해 탐사장비에 장착된 발신기에서 보낸 음파가 4개의
수신
기에 도달하는 시간 차이를 해석해 배와 탐사장비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파악한다. 둘 사이의 거리가 2000m 떨어져 있을 경우 오차는 6m 정도다. 박쥐가 동굴 벽에 반사된 초음파가 두 귀에 도달하는 차이를 이용해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11
매우 바빴다.인공 구름, 레이더로 추적하는 이유야광운을 이루는 구름입자는 우리가
수신
하는 라디오파를 잘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야광운을 연구하는 데 레이더가 유용하다. 하늘에 뭔가 떠 있으면 레이더는 라디오파를 쏴 되돌아오는 것을 분석해 하늘에 떠 있는 물체의 정체를 파악할 수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11
분명히 특별했던 징후가 있었다. 1977년 8월 15일 미국의 ‘빅 이어 전파망원경’에
수신
된 데이터를 검토하던 천문학자 제리 에흐먼은 72초간 지속된 강력한 신호를 발견했다. 천체에서 일반적으로 흘러나오는 전파와는 너무도 다른 이 신호에 흥분한 그는 데이터가 적힌 인쇄용지 한쪽에 ‘와우!(Wow!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10
복호화 키가 서로 다른 방식이다.
수신
자는 자신의 암호화 키를 공개하지만 복호화 키는
수신
자만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암호문을 해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암호화된 정보를 전달할 때 A는 B가 공개한 암호화 키를 이용해 암호로 만든 메시지를 보낸다. B는 자신의 복호화 키로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10
이런 비유클리드 기하학 성질을 이용해 우리는 노르웨이의 최북단 섬인 스발바르에 위성
수신
소를 세웠습니다. 북극권에서는 한반도보다 위성 사진을 더 자주 받을 수 있으니까요! 해상도흑백 화면의 경우 지상에 있는 1m 크기의 물체를 알아볼 수 있고 컬러 화면의 경우 4m 크기의 물체나 지형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