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
거미줄
네트
그물 세공
뜰채
그물세공
거밋줄
d라이브러리
"
그물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정도로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곤충 가운데 큰 편에 속해요. 막대기처럼 가늘고 긴 몸에
그물
처럼 생긴 날개가 두 쌍 달려 있어요. 세모난 머리에 달린 큰 눈과 기다란 배(꼬리가 아니에요)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87종, 세계적으로 5000여 종이 있는데 모두 아름다운 빛깔을 자랑해요. 잘 발달한 ... ...
바닷속 골칫덩어리에서 특별한 요리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2
괴롭히고 있다고?물고기를 키우는 양식장에 매달려 사람들을 방해해요. 어선에서 내린
그물
에 붙어 있거나 커다란 구멍을 뚫기도 한답니다. 또 여름에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다가가 따가운 독을 쏘기도 하죠. 하지만 우리를 불청객으로만 생각하지는 말아 주세요. 최근 과학자들은 해파리를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12
방향의 자기장이 쌓여 수천 G(가우스)까지 올라간다. 이렇게 강한 자기력선은 채층에서
그물
과 같은 망상구조를 이룬다. 동그란 원이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는 그림을 상상해 보면 이해가 쉽다.오랫동안 이런 망상구조의 각 셀 안쪽, 위에서 상상한 동그란 원들의 중심부에는 자기장이 거의 없다고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11
바닥이 사각형으로 된 배가 네 척 보였다. 미동도 하지 않고 떠 있었는데, 윤 이사장은
그물
을 치고 고기를 낚는 중이라고 했다.이곳에서 고기잡이배 ‘성춘 호’를 몰고 포구에서 횟감도 파는 어민 서승석 씨는 낚싯배가 예전에 비해 많이 줄었다고 했다.“예전에 한강에 저런 사각 배가 무척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11
다니면서 보니 여행지의 모습이 어렸을 때 봤던 모습과 자꾸 달라지는 것이 느껴졌어요.
그물
치고 물고기를 잡을 정도로 물이 맑았던 곳은 댐 같은 것이 생기면서 아예 사람들이 근처에도 가지 못하게 바뀌었고. 다람쥐도 예전처럼 볼 수가 없더라고요. 너무 안타까웠어요. 그리고 지켜주고 싶다는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11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전해물질이다. 마이크로미터 구조로 설계됐던 이
그물
을 나노미터 구조로 바꿔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기계항공공학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최만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의 전공은 바로 나노 입자들을 자유롭게 배열하고 쌓는 것이다. 최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탄소나노튜브를 15mm까지밖에 만들 수 없지만 기술이 발달한 미래에는 탄소나노튜브
그물
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고온의 플라스마와 고에너지 레이저로 적의 화기를 막고 최종적으로 탄소나노튜브로 걸러낸다면 거의 모든 공격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보호막으로 막을 수 없는 것이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
과학동아
l
201210
거대한
그물
을 끌어 올렸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꽤 무거운
그물
에 만선을 꿈꿨건만
그물
에는 엄청난 양의 조류와 작은 실고기만이 걸려 있었다. 더 크게 첨벙거리며 두 번, 세번 물고기를 몰았지만 물고기는 조금밖에 잡지 못했다. 아마추어 어부들다운 성과였다. 하지만 복어나 다금바리 같은 크고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09
있지만, 이렇게 파도가 셀때는 1km 정도밖에 나가지 못한다. 그나마 배가 없는 여인들은
그물
을 안고 물속에 뛰어든다. 한 번 들어갔다 나오면 멸치 크기의 작은 생선 몇 마리를 건질 수 있다. 인도양 너머로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마다가스카르는 제주도처럼 화산폭발로 생겨난 화산섬이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09
로 코팅한 뒤 6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자 수크로스가 흑연처럼 바뀌면서 각 입자가
그물
처럼 연결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물질에 전류를 흘렸더니 표면에 있던 전자가 내부까지 빠르게 전해졌다. 밀도도 기존 소재보다 1.4배나 높아져 용량도 늘어났다. 연구팀은 2년 안에 이번에 개발한 입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