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d라이브러리
"
개량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02
휴보1은 사람과 악수를 하거나 가위바위보를 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휴보2는 이런 점을
개량
했다. 연구팀은 휴보2의 손가락에 가느다란 와이어를 힘줄처럼 집어넣었다. 이 덕분에 손가락이 눈에 띄게 가늘어져서 야구공 같은 작은 물건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아직 사람처럼 손가락을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발전 단계였다면 조선시대는 대량 생산 체제로의 발전 단계였다. 조선 초 금속활자의
개량
과 서적 간행이 대량으로 이어지면서 종이의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이런 수요에 맞춰 조선에서는 태종 15년(1415년)에 제지장들을 관장하고 직접 종이도 만드는 조지소(造紙所)가 설치돼 제지기술의 보급, 지질의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사람이 없다면?無 가축과 농작물은 못 살아~가축과 농작물은 오직 사람에게 유용하도록
개량
된 품종이다. 따라서 사람이 사라지고 나면 쓸모가 없어져 자연히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소나 돼지처럼 가둬져 길러지던 가축의 경우 스스로 먹이를 구해 먹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식량 공급이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01
‘별’ 3개를 발견했다고 썼다. 이 발견은 갈릴레오가 30배의 배율로 볼 수 있게 망원경을
개량
한 1609년 12월 에서 편지를 쓴 날 사이의 어느 날에 있었던 걸로 보인다.갈릴레오는 1610년 1월 8일부터 3월 2일까지 이들 천체를 계속 관측한 결 과 이들이 별이 아니라 목성 주위를 맴도는 위성이라는 사실을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12
’은 해금을 당나라에서 전해진 악기로 소개한다. 하지만 전래되는 과정에서 악기가
개량
되면서 중국 악기와 다른 우리 고유의 형태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악학궤범은 해금이 당악 이 아닌 향악 에만 쓰였다고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역사서인 고려사의 악지(樂志)편에서도 해금을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11
적어도
개량
한 적이 있어야 한다. 대포가 아니라 다른소형 화기를 고안하거나
개량
해도 좋다. 하지만 사실을 말하면 15연발 권총이나 회전식 소총,사벨 권총 따위를 고안한 사람은 별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대포를 고안하거나 제작한 사람이 어떤상황 에서도 그들보다 우위를 차지했다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1
달에 보낸‘새턴V’ 로켓에 적용됐던 많은 핵심 기술이 21세기 우주를 가르는 로켓에
개량
돼 사용되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지난 40년간 진척된 로켓 엔진의 발달속도를 ‘일취월장’이라고 평가하기 어렵게 하는 대목이다.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지원하는‘타임도메인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10
오고 있는 셈이다. 흥미롭게도 이 같은 전망을 실현시킬 열쇠는 종전의 자동차 기술을
개량
하는 데 있지 않다. 큰그림 보러가기전통적인 자동차에 없던 새 기술을 끌어와야 하는데, 그 중심에 바로 2차 전지가 있다.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 시대를 열 핵심 동력원으로 꼽힌다. 휘발유와 공기를 섞어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10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매력적인 저서임에 틀림없다.동종교배로 양의 품종을
개량
하면서 18세기에는 양과 염소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퇴행성 질환인 스크래피라는 공포스러운 질병이 대두했다. 1950년대에는 파푸아뉴기니에서 포레족의 식인 습관으로 경련, 운동장애 증상을 보이는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10
창작악에 맞춰 피리를
개량
하려는 시도도 일고 있다. 북한에서 쓰이는 대피리도
개량
해 연주에 쓰고 있다.대피리는 그 이름처럼 향피리보다 크기가 크며 관대를 박달나무나 자단나무로 만든다. 음을 조절하기 위해 플루트처럼 별도의 키 조절 장치를 달아 반음도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다. 향피리,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