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인
보증인
뉴스
"
증거인
"(으)로 총 2,0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네이처 제공 초록색의 고세균이 좌우 아래 세 갈래로 나뭇가지처럼 길게 뻗어 있다. 표면엔 오돌토돌 돌기가 형성된 모습도 보인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2년간의 노력 끝에 수심 2533m 해저에서 채취한 아스가르드 고세균의 모습을 23일표지로 실었다. 생명체는 크게 진핵생물과 세균, 고세균 ... ...
WHO, '우한 폐렴' 비상사태 선포 여부 23일 결정
연합뉴스
l
2020.01.23
"가까운 접촉자 사이 전염 증거 있지만, 3·4차 전염 증거는 없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한 세계보건기구의 긴급위원회.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중국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로 확산하고 있는 '우한(武漢) 폐렴'의 국제적인 비상사태 선포 여부를 23일(이하 현지시간) 결정할 것이라고 밝 ... ...
中당국 "의료진 14명 한 환자에게서 감염"…'슈퍼전파자'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춘절을 맞아 중국에 연인원 30억명 규모의 민족 대이동이 예상된다. 사람 간 전염이 공식 확인되며 대규모 감염 확산이 우려되는 이유다. EPA/ 연합뉴스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의 사람 간 전염 가능성이 공식 확인됐다. 중국 보건당국 관계자가 사람 간 전염 가능 ... ...
[우한 폐렴 비상]기내 감염 위험 없나…전문가들 "마스크·손씻기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에서 질병관리본부 국립검역소 직원들이 열화상 카메라로 중국 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에 도착한 승객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0일 질병관리본부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의 국내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고 ... ...
[우한 폐렴 비상]중국내 환자 늘고 한국서도 발생…동북아 확산 '초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우한 폐렴' 비상이 걸린 일본 나리타 공항에서 지난 16일 한 여행자가 검역실을 통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 사태가 겉잡을 수 없이 커지는 추세다. 지난 주말 사이 우한에서 136명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했으며 베이징과 선전에서도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는 푸른 자연을 좋아한다. 우거진 산이나 파란 해변을 보면 기분도 좋아지고 괜히 건강해지는 느낌이 든다. 에드워드 윌슨은 인간이 자연애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심리적인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해변이나 강물, 숲이 우거진 산에는 먹을 것도 많아서 좋아하는 심리가 진화 ... ...
발가락을 닮은 당근 ‘화제’
팝뉴스
l
2020.01.18
팝뉴스 제공 실제 당근인가. 아니면 관심을 끌고 인위적으로 만든 결과인가. 미국의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주목 받은 사진이다. 사진 공개자는 발가락 당근이 발견되었다며 그 증거를 제시했다. 당근은 정말 사람 발바닥을 닮았다. 발가락의 크기 및 위치 그리고 각도까지도 비슷하다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일러스트 박장규 바이킹이라고 하면 보통은 뿔 달린 모자를 쓴 약탈자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물론 바이킹은 강인한 전사였지만, 동시에 탁월한 항해가이자 모험가, 상인이기도 했습니다. 982년 유럽 사람 중 최초로 그린란드를 발견하고 정착지를 건설한 사람도 바이킹이었습니다. 하지만 15세기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나노실린더 구조에 빛을 가둬 빛의 색깔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광소자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빛의 색깔을 원하는 대로 바꾸는 방법은 광섬유 경계면에서 빛을 100% 반사하는 현상인 ‘전반사’와 광결정에서 나타나는 특정 파장 빛의 반사를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생체모방 로봇 ‘비둘기봇’ 등장… 날개 펴면 깃털 사이 ‘찍찍이’ 발생 바람 안 새게 깃털끼리 서로 붙잡아… 강력한 바람에도 안전하게 비행 美연구팀, 실제 깃털 40개 붙여… 합성탄력인대로 관절 움직임 실험 비행효율 개선 연구에 적용 기대 1 데이비드 렌틴크 미국 스탠퍼드대 기계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