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경제로 가는 길]美-英 “청소년에게 창업 마인드 심어라”
동아일보
l
2013.05.02
개발 어린 소녀들은 예쁜 목걸이를 걸고 다녔다. 자세히 보니 과일이나 채소의 염기
서열
모양을 본뜬 것이었다. 물리학 강의 교보재로는 입술에 바르는 립글로스가 등장한다. 미국의 과학교육 네트워크인 ‘익스팬딩 유어 허라이즌스(EYH)’의 콘퍼런스 현장 모습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 ...
묫자리 잘못 써서 대가 끊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일찍 죽었고, 제안대군과 현숙공주도 자손을 낳지 못했기 때문이다. 제안대군은 왕위
서열
상 아버지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야 했으나 4촌인 성종에게 자리를 뺏겼고, 이혼과 재혼을 거듭하는 등 결혼생활도 순탄치 못했다. 그러다 결국 자손 없이 죽음을 맞았다. 현숙공주는 병조판서를 지낸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역시 현생인류의 여정을 추적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염기
서열
데이터는 미토콘드리아 게놈과 마찬가지로 전부 현생인류의 범주 안에 있었다. 그런데 수년전부터 ‘23앤드미(23andMe)’ 같은 개인 게놈을 분석해 결과를 알려주는 회사들이 생기면서 많은 사람들이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생성하는 박테리아 4종의 16S 리보솜RNA 염기
서열
을 다른 박테리아나 동식물의 해당
서열
과 비교한 결과 둘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만큼 뚜렷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당시 지식으로는 당연히 다른 박테리아 무리에 함께 묶여야 했다. 이에 깜짝 놀란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바탕으로 저자들은 정보를 염기 100개 단위로 잘라 저장했고 각각에 색인(물론 DNA염기
서열
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팔만대장경처럼 조각조각 나눠 정보를 담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음 정보 단위는 앞의 것의 26번째부터 시작해 10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 분야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피어스 교수는 1972년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
서열
을 해독했고 1976년 역시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을 해독한 분자생물학의 개척자다. 1980년, 그는 독감 바이러스로 관심을 돌려 1965년 유행했던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해독했다. 196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과정에서 다양한 통계기법을 개발했다. 그는 오늘날 분류학의 주류인, DNA나 아미노산의
서열
비교를 바탕으로 한 분자진화에 따른 분류학보다는 형태의 정량적인 유사성에 따른 분류가 더 객관적이라는 입장을 끝까지 유지했다. 한편 소칼은 유럽의 역사와 언어에도 관심이 많아 6개 언어를 구사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
서열
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인간 게놈 전체의 기능을 규명하는 엔코드(Encode) 프로젝트의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네이처’ 9월 6일자, ‘사이언스’ 9월 7일자) 그동안 쓰레기 DNA라고 치부했던, 유전자와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부분은 일정한 염기
서열
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부분이 태반이므로 DNA가닥을 쪼개 염기
서열
을 분석하더라도 이게 어디에 들어가는지 퍼즐을 맞추기가 지극히 어렵다. 아직도 밀과 보리의 게놈을 완전히 해독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빵밀 유전자 수, 사람 유전자 수 4배 넘어 한편 빵밀 게놈 ... ...
과학대중화의 해법은 '과학문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DNA 염기
서열
이 1000억 개나 돼 연구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실러캔스는 DNA 염기
서열
이 30억 개로 사람과 비슷해 다른 동물과 유전적 차이를 비교하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칠판 위에 한 학생의 뇌 구조를 그린 그림을 표지로 선택했다. 이 학생의 뇌는 과학기술과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