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모습이 공개됐다. 돼지가 사물을 판단할 때 쓰는 주둥이는 뇌와 많은 신경으로 연결된
부위
다. 뉴럴링크가 지난해 처음 공개했던 칩의 형태는 귀 뒤에 작은 통신 모듈이 있었으나 이번엔 칩 속에 통신 모듈이 탑재됐다. 외부에서 보면 칩을 심었는지 알 수 없는 셈이다. 머스크는 “두개골 속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약물전달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기존의 약물사용량 대비 소량의 약물로 필요한
부위
에 직접 전달해 암치료 등에서 발생하는 약물 부작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건강한 피, 뇌졸중을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MMP-9’의 혈중 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MMP-9는 손상된 뇌
부위
에 백혈구가 과도하게 모이며 방출하는 물질이다. 또 염증과 관련된 단백질과 면역세포 수 또한 줄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현재까지 승인한 뇌졸중 치료는 혈전 용해제를 3시간 내로 투여하는 방법 밖에 없다. 이번 ... ...
"코로나19 회복 후에도 16가지 후유증 나타나"
연합뉴스
l
2020.08.27
밝혔다. ▲ 탈모 - 회복된 사람 4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난다. 두피 외에 눈썹 같은 다른
부위
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고열 - 감염 때 나타나는 고열이 회복 후에도 계속되는 사람이 있다. ▲ 설사 - 역시 감염 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지만 회복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 탈진 - 코로나19와 싸우느라 ... ...
사랑제일교회 등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두 'GH그룹'…이태원클럽 때부터 주로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그룹은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로 세포에서 증식이 보다 잘 되고, 인체세포 감염
부위
와 결합을 잘해, S나 L 등 다른 그룹 바이러스에 비해 전파력이 6배, 세포 증식력은 2.6∼9.3배 높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 ...
왼손잡이, 손가락 촉각으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주로 활성화됐다. 반면 왼손 집게손가락에 자극을 주자 좌뇌와 우뇌에 걸쳐 넓고 고른
부위
가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왼손과 오른손에 주는 자극에 따라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그 정도를 객관적으로 구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향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
노후 아파트 내구성 늘리는 보강공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화재에 취약하고 지하구조물 등 표면이 젖은 구조물에 시공하기 어렵다. 시공 후 접착된
부위
가 수분에 노출될 경우 탄소섬유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김형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연구팀은 기존 탄소섬유 접착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 ...
코로나 바이러스,인체 침투하는 유연한 관절 지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0
화학부 교수는 “우리 연구팀 역시 구조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 기둥
부위
가 관절을 갖고 있고 이들을 통해 단백질이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상태”라며 “이 결과가 오류인지 의문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로 이 같은 구조와 움직임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 ...
[백신 업데이트]中 백신 중화항체 형성·안전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25%가 보고됐다. 위약 그룹은 12.5%가 부작용을 보고했다. 부작용은 주로 열과 주사
부위
통증으로, 연구팀은 부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결론 내렸다. 마지막 접종 뒤 14일이 지나 체내에는 주입 농도와 상관없이 중화항체가 형성됐음을 확인했다. 항체가 형성 정도를 비교하는 수치로 ‘항체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새 약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특이적인 현상이 나타난다”며 “이는 다염기성 절단
부위
가 인체 세포에 침투하는 바이러스 기능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화학 및 약리학 전문가와 협력해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해 코로나19의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