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ACE2 결합이 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스파이크 단백질 결합
부위
의 서열이 가장 비슷한 것은 중국 광둥지역에서 발견된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이 두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자연적으로 섞이면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탄생했을 ... ...
인공지능, 의사 도와 의료현장 전면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CXR은 인공지능이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 사진을 수초 내로 분석해 각 질환의 의심
부위
와 의심 정도를 생삭 등으로 자동 표기한다. 환자의 양쪽 폐에 존재하는 병변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루닛 제공. 일반적인 코로나19 검사법인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결과와 비교한 결과에서 루닛 ... ...
뇌세포 은밀하게 공격하는 코로나…결과는 치명적
연합뉴스
l
2020.09.11
관련 증상을 보이는 것은 뇌세포가 바이러스에 직접 공격을 당한 것이 아니라 인체 다른
부위
의 염증이 뇌세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와사키 박사의 연구는 온라인으로 공개됐지만, 아직 학술지 게재를 위한 전문가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때 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누는 4.3시간마다 자전하는데 해가 사라지는
부위
에서 주로 작은 돌맹이 만한 돌조각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가설을 제안했다. 우선 열에 의한 균열이 돌조각을 만들었을 거란 주장이다. 베누 표면의 바위는 태양을 바라보는 낮에 ... ...
뇌 속 비신경세포가 촉감 인식 능력 높인다
연합뉴스
l
2020.09.09
반응 강도를 세분화해 감각 신호에 다양하게 반응하도록 돕고, 시냅스(신경세포의 연접
부위
)의 정보 통합에 방해가 되는 불필요한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카메라의 노출값이 지나치게 크면 사진이 전체적으로 하얗게 되면서 물체를 식별하기 어려워지는 것처럼, 신경세포가 과하게 활성화되면 ... ...
방역당국 “9월 중 코로나 항체치료제 대량 생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제제 공급을 완료할 예정이다. 권 부본부장은 “항체치료제는 바이러스 단백질 각
부위
마다 기능하는 항체들이 별도로 생성되기도 하는데 어떤 항체가 실질적으로 바이러스 복제를 끊어낼 수 있는지 수많은 연구를 통해서 알아내야 한다”며 “또 이 항체를 증식시키고 치료제로 만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성공하게 도와주는지는 아직 모른다.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먼저 절단
부위
의 세포벽 셀룰로스를 분해해 접촉면에서 셀룰로스 섬유가 다시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제를 바르고 열을 가해 녹인 뒤 붙이면 더 단단하게 붙는 것과 비슷한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약 0.35%다. ② 극락조는 교미에 유리하도록 몸에 알록달록한 색을 발현시켰다. 종별 또는
부위
별로 0.05~0.31% 의 다양한 반사율을 가진 울트라블랙 깃털을 갖고 있다. 연구자들이 울트라블랙을 연구하는 건 단순히 호기심 때문만은 아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특히 나비의 날개는 울트라블랙을 낼 수 ... ...
[내 아이 챙기기]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항체가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사이에 구조가 비슷한
부위
를 공통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성인(왼쪽)과 어린이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로를 비교했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1) 호흡기 상피세포가 이미 다른 ... ...
지속 기간 논란 코로나19 항체, 4개월까지는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판이뮤노글로불린(Pan-Ig) 검사 두 종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 돌기나 껍질 등 다양한
부위
의 단백질 조각을 인식하는 항체를 표적으로 하는 검사 네 종류였다. 여기에는 코로나19 확진에 쓰이는 유전자증폭검사(qPCR)을 이용해 1237명으로부터 받은 검체 2102개와 자가격리자 4222명, 그리고 감염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