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과하는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유미가 소장을 천천히 통과하면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
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대장으로 들어오는 유미의 흐름도 줄어든다. 유미가 장을 조금씩 지나가면 대장 끝부분에 있는 짧은 사슬 지방산의 양이 적어지고, 유미가 충분히 지나가야 짧은 사슬 지방산이 생기는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미세물질을 걸러내는 깃세포 부분.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은 다량의 바닷물을
흡수
한 뒤 그 안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먹기 때문에 독소나 병원체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체내에 독소를 남기기 않기 위해 깃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는 동시에 떼어내 버리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이런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녹아 있는 잉크를 쓰는 보통 볼펜은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빛이 바탕까지 도달해
흡수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땐 금가루나 은가루를 섞은 듯한 펜을 쓰면 글씨 선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바탕에도 묻히지 않는다. 암녹색 칠판에 흰색 분필로 쓴 글씨가 희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볼펜에서 이런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산화탄소와반응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구조물로 나무처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CO32-) 형태로 붙잡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한 화학물질을 이용한다. 재밌는 사실은 랙커교수가 딸에게서 에어 스크러버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점이다. 1999년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몸에 여러 각도에서 쏜 뒤, 몸을 통과하면서 감소한 양을 측정한다. 방향에 따라 파장을
흡수
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각 장기의 밀도를 계산해 컴퓨터로 재구성하면 고해상도의 영상이 된다. CT 장비는 몸속 구조를 정밀하게 볼 수 있는 대신 병원균이 모여 있어 질환을 일으키는 부위(병소)는 알아내기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는 실내 스튜디오에서 이뤄진다. 또 적외선은 흰색에는 잘 반사하지만 검은색에는
흡수
되는 성질이 강해 사람 얼굴을 촬영할 때 머리 부분이 없는 것처럼 나오기도 한다. 호 교수는 “깊이 정보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정보 처리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국내 최대 ... ...
“물 한 방울도 놓치지 않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식물은 이런 독특한 구조를 이용해 다른 식물보다 16배나 많은 물을 모을 수 있고, 땅으로
흡수
하는 것보다 10배나 깊은 땅속 10㎝까지 빗물을 전달할 수 있다고 해요. 척박하고 메마른 환경을 이겨 내는 식물의 지혜가 정말 놀랍네요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송 효율이 낮았다.가오 박사는 그 원인을 빛이 불투명한 광섬유 자체에 산란되거나
흡수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1966년 1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광섬유를 순도 높은 투명한 유리로 만들면 빛 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당시 기술로는 이런 광섬유를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교량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교량 상판과 케이블 연결부에는 자동차에 쓰이는 충격
흡수
장치인 서스펜션도 도입해 상판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스프링과 유압장치로 구성되는 서스펜션은 자동차의 경우 도로가 울퉁불퉁해 생기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비슷하게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온도를 내리는 역할을 한다. 상층대기에 떠 있는 이산화탄소는 지표면에서 나온 열을
흡수
하는 대신에 금방 다시 우주와 지표면으로 토해낸다. 이 때문에 지표면은 더 더워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층대기는 오히려 열을 더 빼앗기고 만다. 이산화탄소는 중간권에서‘냉실가스’인 셈이다.그런데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