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독자적이고 전통적인 수학 연구의 성과는 근대적 수학 교육에
흡수
되지 못하고 사라졌다.한국 수학의 독자적 학문 체계수학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이라는 특성때문에 흔히 서구 중심의 학문으로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동양에서도 수학은 토목 공사, 호구 조사, 조세와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흐트러뜨린다. 그때마다 시시각각으로 모터와 감속기를 어떻게 제어해야할지, 충격
흡수
를 어떻게 할지를 그 동작 순서대로 일일이 정해 줘야 한다. 오준호 교수는 “호핑 연구가 1차원적인 움직임이라면 로봇이 앞으로 달려 나가는 패턴 연구는 2차원”이라고 해석했다.동작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 ...
햇빛으로 찍는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색 층이 들어 있습니다. 각각 파란색, 초록, 빨간색을
흡수
하는 층이지요. 그런데 물체가
흡수
하는 색과 반사하는 색은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필름에 맺힌 상의 색은 실제와는 반대입니다. 필름에 보색으로 맺힌 상에 빛을 쪼여 특수한 감광지에 인화하면 제대로 된 원래의 색이 나타난답니다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한국 전통 식품을 보관하는 데에 알맞다. 저기압과 저중력 환경에서 국물이 포장으로
흡수
되도록 했고, 압력 평형 기능이 있는 기체 투과 필터를 넣어 포장을 뜯었을 때 내용물이 흩어지지 않는다.모양도 이유도 가지가지이렇듯 현대의 포장은 상품마다 다른 환경 조건에 똑 부러지게 대비하고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소음도 다른 재료보다 더 잘 전달된다는 단점도 있다.❹ 진동 없는 방 | 나무는 진동을
흡수
하는 성질이 있어서 집을 지을 때 쓰면 집의 흔들림 현상을 막아 준다.*공명 현상 : 소리나 진동이 일어날 때 근처에 있는 물체가 함께 소리를 내거나 진동하는 현상. 악기도 공명 현상을 이용한다.“물론 목조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구조하는 데 필요한 벌레 로봇들이죠. 또한 당뇨약이나 항암제가 인체에 지속적으로
흡수
되도록 쾌속 조형을 통해 몸에 약물을 심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새로운 응용이라 신기하게만 느껴질 겁니다.”아무도 개발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 그것을 찾는 일이 IDIM 연구실의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펩티도글리칸 덕분에 박테리아는 이온 농도가 낮은 환경에 놓여 삼투압으로 물을
흡수
해도 터지지 않고 버틸 수 있다.그렇다면 펩티도글리칸에 L-아미노산뿐 아니라 D-아미노산도 쓰인 이유는 무엇일까. 아미노산은 펩티드결합으로 연결돼 사슬이나 단백질을 이룬다. 따라서 생명체가 다른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속의 단백질은 소화액 속의 펩신 같은 단백질분해효소로 분해해 아미노산으로 만들어
흡수
한다. 단백질이 세로가 긴 ‘ㄱ’자 블록이라면 펩신은 세로가 긴 ‘ㄱ’자 홈이 파인 바닥 면이다. 블록(우유 단백질)이 홈(펩신)에 꼭 맞으면 효소작용으로 소화돼 쪼개진다.그런데 거울 나라의 우유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는 현상을 ‘열섬’이라고 한다. 도시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는 낮에 열을
흡수
했다가 서서히 내뿜기 때문에 밤이 되어도 시원해지지 않는다. 또한 아스팔트는 물을 머금지 않기 때문에 물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냉각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그 결과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고 더 많은 ... ...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4.7kg, 모두 합쳐 281.6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만한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려면 1089그루의 잣나무를 심어야 한다. 매일 학교나 직장으로 출퇴근 할 때 타는 자동차나 버스까지 생각하면 훨씬 많은 잣나무가 필요하다.유엔이 관리하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는 1996년 자동차,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