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수학자 팀은 지구 종말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인류 문명이 언제까지
존재
할지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를 바탕으로 수학 모형을 세워 계산한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천천히든 갑자기든 현 인류는 반드시 종말을 맞는다고 한다. 물론 그 전에 기후문제나 인구 문제를 해결하면 결과는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갈루아 이론’이었다. 윌리엄슨 교수는 “갈루아가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존재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름답게 증명한 걸 보고 수학이 굉장히 깊이 있는 학문임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대학교 졸업과 동시에 진로를 수학으로 바꾼 윌리엄슨 교수는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수학으로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에 윔프가 닿으면 약간의 빛이 나오는데, 이를 통해 윔프가 실제로
존재
한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죠. 그런데 여기엔 한 가지 큰 문제점이 있어요.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이 윔프 뿐만이 아니라 우주 방사선과 닿아도 빛을 낸다는 거예요. Q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셨죠? 윔프를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확대되도록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은 이미 정시 선발비율이 30% 근처에
존재
해 현재와 비슷한 개편안이라는 평가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서울대와 고려대 같이 정시 선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학이 어떻게 정시 비율을 설정하느냐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 수능 출제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끊임없이 보내는 전기 활성 시스템으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식물(자연)에
존재
하는 능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식물”이라며 “이를 응용하면 식물 스스로 환경의 미세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감지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수 없는 동경의 대상이었던 달을 인류의 생활권으로 바꿔 놨다. 인공위성을 보내 물이
존재
하는지 확인하는가 하면, 상업용 달 관광도 계획하고 있다. 50년 동안 발전한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을 사진으로 되돌아봤다. ● 1968. 12. 24 지구가 떠오르다황량한 달에서 생명으로 가득 찬 지구가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저런 로봇을 사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하지만 머지않아 그런 로봇은 세상에
존재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지요. 그래서 로봇을 직접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사람을 도와주고 사람을 살리면서도 절친한 친구 같은.” 하지만 절절한 소망만으로 로봇공학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손잡이를 통해 전달되는 감각은 고스란히 유진우의 피부에 전달된다. 실재하지도 않는
존재
에서 촉감을 느끼는 것이다. 실감나는 AR 게임에는 이런 촉각 효과, 즉 햅틱(haptic) 테크놀로지가 중요하다. 햅틱은 그리스 말로 터치를 뜻한다. ETRI는 초음파 원격 햅틱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인간이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떨어진다)’이라는 말이 유행할 만큼 수험생에게 수면 시간 관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
다. 이 양은 매일 7~8시간을 잤다. 그는 “수면 시간이 컨디션 회복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고등학교 3년 내내 밤 12시 전에 취침해 아침 7시경 일어나는 습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20년간 모은 771개의 관측 자료를 자세히 분석해 얻어낸 결과”라며, “이 행성의
존재
를 99% 확신한다”라고 말했어요. 증발하는 외계행성?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태양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지구가 태양과 더 가까웠더라면 불구덩이 행성이 되었겠죠.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