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동을 방해해 열을 일으킨다. 초전도체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체에는 저항이
존재
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해 일정한 열이 발생한다. 게다가 건조한 손바닥 피부는 저항이 약 100만Ω(옴)에 이를 만큼 매우 크다. 여기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전류반과 전기 화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하나의 크기와 비슷하다. 신경전극을 뇌 등 중추신경이나 팔다리 등 신체 말단에
존재
하는 말초신경에 직접 심어 개별 신경세포의 신호를 확인해 처리하는 게 목표다. 현재 김 교수팀은 이런 마이크로 바늘 신경전극을 개발했다. 또한 전극이 체내 이물질 반응을 덜 일으키는 방법도 개발하고 있다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현상이 나타난다. 나노종합기술원 이종권 박사는 “양자 영역에서 공간은 확률적으로
존재
하고 과거 시간으로 돌아가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앤트맨과 와스프의 자문을 맡은 스피리돈 미차라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양자정보연구소 교수는 “양자 영역이 마블 세계관에서 아주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답할 수 없다. 인도 남부 데칸 고원(Deccan Plateau)에 위치한 데칸 트랩(Deccan Traps)의
존재
때문이다. 데칸 트랩은 대규모 화산폭발의 증거다. 백악기 말과 고제3기 초에 걸쳐 인도 아대륙(亞大陸)에서 대규모 화산폭발이 일어났고, 현무암질 용암이 넓은 지역을 뒤덮으면서 범람현무암이 층층이 쌓인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무서운 신동’으로 불렸던 미국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원소가 137번까지만
존재
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러시아 출신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카잔은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55번이 마지막 원소가 될 것이라고 2009년 주장한 바 있다 ... ...
'캡틴마블'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덧붙였다. 적을 날려버리는 빛에너지?빛은 에너지다. 1897년 조지프 톰슨이 전자의
존재
를 발견할 수 있었던 건 실험을 통해 음극선이 바람개비를 돌린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캡틴 마블처럼 빛에너지로 적을 날려버리는 포터 블라스트를 쓰기 위해서는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동아리에서 제공하는 70% 할인 티켓과 ‘데이 시트(day seats)’라 불리는 당일 할인 티켓의
존재
를 알게 되면서 비로소 내 생에 첫 뮤지컬인 ‘맘마미아’를 볼 수 있었다. 그 후로 ‘레미제라블’ ‘오페라의 유령’ ‘마틸다’ ‘위키드’ 등의 뮤지컬을 모두 이 방법으로 관람했다. ... ...
[3·1운동 100주년] 대한과학 독립만세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1919년 3월 1일 한반도는 태극기와 만세의 물결로 뒤덮였다. 우리 역사에 영원히 ... Intro. 대한과학독립만세Part1.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Part2. 대한의 모든
존재
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Part3. 어두운 시대 비춘 과학의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총망라하는 종합지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총 몇 권이 발행됐는지에 대한 기록은
존재
하지 않는다. 다만 과학조선 기자로 활동했던 심승택이 보관했던 11권을 이용해 1986년 영인본을 제작했다는 점을 미뤄볼 때 최소 11권 이상은 발간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명학회는 1924년 10월 김용관을 필두로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시간 추정은 먼 외국의 이야기였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이를 추정할 만한 감정기관도
존재
하지 않았다. 단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당시 전북지방경찰청 과학수사팀도 농장에서 받은 죽은 돼지를 이용해 실험하기 시작한 지 겨우 1년밖에 되지 않았을 만큼, 법곤충학 연구는 걸음마를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