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CV)의 비인 γ도 일정하다. 소리의 속력은 온도에 의해서만 영향 받는다. 대류권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소리 속력이 느려지고 성층권에서는 증가하며 중간권에서는 다시 느려지고 열권에서는 다시 빨라진다. 3) 소리의 세기(세기레벨)는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약한 소리의 세기를 기준으로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종이실험 방법① 날달걀을 2배 식초에 넣는다. 달걀의 밀도가 2배 식초보다 작아 달걀이
위로
뜨므로 소주잔 같이 작은 용기로 달걀 윗부분을 눌러 준다.② 24시간 정도 기다린다.③ 식초에서 꺼내어 흐르는 물에 씻어주면 속이 비치는 누드달걀이 얻어진다.④ 식용색소를 탄 물에 누드달걀을 넣고 1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예정이다. 유 박사는 “남서계절풍이 불 때 울진과 감포 앞바다에서 심해의 바닷물이
위로
올라오며 영양염을 끌어올리면 플랑크톤이 번성해 해류를 타고 울릉도와 독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바다사자, 멸종 확인되면 캘리포니아서 도입특이하게도 독도 주변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화면발이 잘 받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처음엔 그저 고생한 것에 대한 칭찬이나
위로
로 한 말 일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조 교수님의 실험 보고서를 보니 실제로 우주에 머무는 동안 내 얼굴이 전체적으로 ‘동안’의 형태를 띠었다는 결과가 나왔다.얼굴 전체가 부어오를 거라는 걱정을 많이 ... ...
화려한 회전예술, 비보잉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다리의 모양이 회전반경을 결정한다. 두 동작을 하는 도중 굽혔던 다리를
위로
쭉 펴면 어떻게 될까. 회전속도가 약 2배 빨라져 같은 시간에 더 많이 돌 수 있다. 관성모멘트가 작아지면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는 더 빨라진다는 말이다. 한국 피겨스케이트의 ‘요정’ 김연아 선수가 팔을 펴고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바로 자동차 타이어! 이 타이어가 돌아가면서 배의 바닥을 밀어 주면, 그 힘으로 배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타이어가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 바이킹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는데, 타이어가 앞으로 구르면 바이킹도 앞쪽으로 올라가고 뒤로 구르면 뒤쪽으로 올라간다.바이킹이 만들어진 초기에는 앞으로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때문에 여사건의 경우의 수를 이용한다. 먼저 전체 경우의 수는 총 11번 움직이는데
위로
6번 오른쪽으로 5번 움직이므로 11!/5!6!가지다. 여기서 학교를 지나지 않는 경우와 학교를 지나지만 1시간 이내로 머무르는 경우를 뺀다. 먼저 학교를 지나지 않는 경우는 1)에서 구한 것처럼 32가지다. 그림에서 ... ...
정서 보듬는 음악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 Clair de LuneJS Culture / Until Flow Up The StreamNorah Johns / Be Here to Love MeSting / My One and Only슬플 때는 신나는 댄스음악을 듣기보다는 감정상태와 비슷한 음악을 들은 뒤 조금씩 밝은 음악으로 바꿔 듣는 것이 기분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누르고 견뎠다. 평소에는 주머니에 손을 넣어 상처를 숨겼고 밥을 먹을 때도 절대 식탁
위로
왼손을 올리지 않았다. 박 박사는 “조부모께서 손에 상처가 난 것을 알면 더 이상 대장간에 데려가지 않을 것 같아서그랬다”고 회고했다. 그만큼 어린 그에게 ‘만들기’는 매력적이었다. 그는 ... ...
그들에게 신(神)은 없었다 크로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수 있으므로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사람의 눈물샘은 양쪽 눈 바깥에서 45°
위로
약 1cm 정도 위치에 있다. 눈물샘은 단단한 뼈 속에 있기 때문에 손으로는 만져지지 않는다. 심하게 우는 사람을 가리켜 ‘눈물 콧물 다 흘린다’고 말하는데, 사실 여기서 ‘콧물’은 눈물관에서 배출되는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