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안정되어 흔들림이 적고, 건조해서 적외선을 흡수하는 수증기도 적다. 게다가 고도 4000m
위로
올라가면 공기가 희박해 공기에 의한 방해를 덜 받는다.⑤ 사막, 고원지대공기가 건조하고 일 년 내내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 사막도 대형망원경을 놓기 적당한 장소다. 최근 천문학자들은 칠레나 ... ...
으악! 벽에서 물고기가 튀어나왔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쉬나요?”“창자 호흡을 하는 물고기로는 미꾸라지가 있어요. 미꾸라지는 가끔씩 수면
위로
올라가 공기를 먹어요. 그 공기가 창자를 지나갈 때창자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항문으로 내보내는 거예요. 그래서 미꾸라지를 관찰하면 항문에서 공기방울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지요.”그 때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위로
솟아오를 뿐 아니라 비스듬하게 옆으로 움직이기도 한다. 만약 물 속이라면 전부
위로
움직였을 것이다. 게다가 중국 우주선에는 우주인이 드나드는 통로인 에어록이 없어 문을 열면 바로 조종실과 연결된다. 따라서 조종실 안에 있던 물체가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있다. 우주 공간에는 ... ...
슬플 땐 안아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침팬지는 곧 정상적인 행동으로 돌아왔지요. 연구팀은 침팬지의행동으로 미루어 보아
위로
를 받아 기분이 좋아진 것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답니다 ... ...
참돌고래의 눈물 어린 장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울산에서 18㎞ 떨어진 바다에서 숨지기 직전의 참돌고래를 다른 참돌고래들이 수면
위로
밀어올리는 집단행동을 발견해 촬영했다고 밝혔어요. 힘이 없어 물속으로 가라앉고 있는 참돌고래가 숨을 쉴 수 있도록 동료들이 도와 주는 장면이었어요. 고래연구소는 돌고래들의 이런 이타적인 집단행동이 ... ...
“독도는 우리 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곧 국제학계의 승인을 받을 거라고 하더군요. 울산 앞바다에서 심해의 찬 바닷물이
위로
올라오면서 풍부한 영양분을 끌어올리고, 이를 먹고 번식한 플랑크톤이 해류를 따라 울릉분지로 흘러오면서 독도 일대가 황금어장이 된다는 걸 밝힌 거죠.그러고 보니 장경일 서울대학교 ... ...
자연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생각나기도 해요. 어린 양치식물은 이렇게 여린 줄기가 가늘게 돌돌 말린 모양을 하고 땅
위로
고개를 든답니다. 그런 다음 잎을 활짝 펼치는 거지요. 2악장 다채롭게Capriccio전 세계에 있는 양치식물은 1만 종이 넘어요. 우리나라에도 350종이 넘게 살고 있고요. 그러니 양치식물이라고 다 ... ...
[나노과학]탄소나노튜브가 그린 오바마 초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나노촉매 코팅 층이 남는다. 그 뒤 기판을 고온의 탄소를 포함한 기체 안에 두면 촉매
위로
탄소나노튜브가 자라 나노바마가 완성된다.나노튜브 하나의 두께는 2nm(나노미터, 1nm=10-9m)에 불과하지만 1억 5000만 개가 빽빽이 자라면서 오바마 형상이 나타난다. 하트 교수는 “나노바마는 재미뿐 아니라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몸을
위로
세운 뒤, 꼬리지느러미로 수면을 강하게 때린다. 이 때 생긴 추진력으로
위로
솟아오르는데, 그 순간 속력이 시속 50~60㎞정도이다.➌ 공중으로 뛰어오르면 가슴지느러미를 활짝 펴서 하늘을 난다. 나는 동안 꼬리지느러미로 수면을 때리며 추진력을 다시 얻거나, 나는 방향을 바꾼다.➍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따뜻한 공기가 수증기의 응결로 인해 나오는 열을 받아 생긴다. 그래서 태풍이 땅
위로
올라오면 수증기 공급이 끊겨 힘이 약해지면서 결국 사라진다. 태풍 역시 발생 시점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진과 달리 움직이는 방향을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여유 있게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