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PbS) 양자점으로 만든다”며 “황화카드뮴 등 다른 재료에 비해 에너지 밴드갭이 햇
빛
을 흡수하는 데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학계에서는 몇 년 안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소금새우가 붉은
빛
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
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 ...
[Tech] 그래픽 카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한 개, 두 개··· 정밀 드라이버를 쥔 손이 바쁘게 움직이더니 마지막 여섯 번째 나사가 풀렸습니다. ‘탁’ 소리를 내며 공개된 그래픽 카드 ...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빛
을 내도록 제작됐습니다. 게임할 때의 볼륨, GPU 온도에 맞춰
빛
을 내는 옵션도 있다고 하니, 기술의 발전이 놀랍습니다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받아 아주 미세하게 위치가 변한다. 또 행성이 중심 별 앞으로 지나갈 때 행성에 가려져
빛
의 밝기가 살짝 어두워진다. 테스는 중심 별의 밝기와 위치를 관측하면서 그 값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순간을 포착해 외계행성을 찾는다. 케플러가 찾아낸 2652개의 외계행성도 통과 측광법으로 발견했다.다만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단적으로 보여준다. 동시에 온 세상이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될 미래가 결코 장밋
빛
일 수만은 없다고 경고한다. 때문에 3~4년 전부터 제어기술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제어시스템을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다. 심형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대표적이다. 유기 반도체는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무기 반도체보다 흡광계수(
빛
을 흡수하는 정도)가 10배가량 높다. 이는 부피가 동일할 때 태양광 흡수량이 10배 많다는 뜻이다. 가령 실리콘 태양광 전지의 두께가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라면, 유기 반도체는 10분의 1 수준인 300nm ... ...
과학동아 주제가 ‘
빛
처럼(Virtual Love)’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주제가 ‘과학동아 송(song)’ 작사 공모전에서 대상 수상자가 결정됐다. 제목은 ‘
빛
으로’이며, 주인공은 임채연 양(분당영덕여고 2학년)이다. 과학동아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K팝 음반 레이블을 제작한 엔터아츠의 도움을 받아 작곡 AI인 ‘쥬크덱’을 이용해 ‘과학동아 송’의 멜로디를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그런 질문을 하고 본인이 던진 화두에
빛
나는 별 같은 이론물리학자들이 각자의 학문적 생명을 걸고 논쟁하는 것을 본 호킹이야말로 가장 행복한 과학자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이필진_piljin@gmail.com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물리학으로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질량이 있는 입자가 차례로 나타난다는 뜻이에요. 즉 우주가 생겼을 때는 물질은 없고
빛
만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는 거예요. 우주로 돌아간 호킹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호킹은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노벨상은 보통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는 업적에 주는 경향이 있기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열었어요.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입자들, 즉 태양풍이 지구 대기와 부딪혀
빛
을 내는 현상이에요. 주로 위도 60~80°의 극지방에서 관찰되지요. 우리에게 마냥 아름답기만 한 오로라는 사실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측 대상이에요. 바로 태양풍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태양의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