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거리에 가자마자 재빨리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빛의 속도와 경쟁해야한다는 말이다.양자역학은 확률을 예측한다. 따라서 결과는 언제나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원자나 광자 한 개를 다루는 실험을 여러 번 하다보면 전자나 광자를 놓치기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스피너가 너무 멀리 가서 안 보여!”그때, 갑자기 게임판이 붉은 빛으로 변하면서 경고 문구가 나타났어요.“경고! 피젯 스피너가 없으면 게임을 종료할 수 없음.”그 순간, 갑자기 하늘이 어두워지고 번개가 내려치며 옆에 있던 나무가 쩍 갈라졌어요.“으악!” [스토리 따라잡기] 게임 속 위급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직 딸기에 광센서 측정기를 쓰긴 힘들다. 모 연구원은 “사과나 감 등과 달리 딸기는 빛으로만 당도를 측정할 경우 습도가 높으면 쉽게 물러 당도가 낮게 측정되는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아직은 과즙으로 직접 당도를 측정하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플루토늄을 수입해 경수로에 연료로 쓰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무기로 쓰던 물질로 빛을 만든 셈이다. 송근우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농축우라늄에 천연 우라늄을 섞어 희석하면 저농축우라늄 연료를 만들 수 있다”며 “국내에서 한 번도 해보지는 않았지만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은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탄소 연료를 만드는 셈입니다. 인공광합성도 이와 비슷합니다. 햇빛에서 얻은 전기화학에너지를 매개로 이산화탄소를 탄소 연료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방출하지 않고, 오히려 온실가스에서 연료를 얻는 지속가능한 친환경에너지인 셈입니다. 이산화탄소에 전압을 ...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불테리어, 저먼셰퍼드에게서는 꼬리잡기가 자주 보이고, 보더콜리 같은 목양견에서는 빛이나 그림자 찙기 행동이, 도베르만에게서는 옆구리와 말단부분을 빨거나 씹는 행동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특정 견종에서 발생률이 높고,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전인 1~3년령에서 강박장애가 주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독자라면 책을 읽으면서 광물에 없던 애정도 샘솟아날 만하다. 책장을 넘기며 아름다운 빛과 색을 가진 광물을 감상하는 것은 덤이다. 로봇전문기자가 소개하는 미래 ‘슈퍼맨’ 때문일까. ‘슈퍼’라는 단어에는 뭔가 굉장하고 영웅적인 느낌이 수반된다. 슈퍼마켓도 어떤 의미에서는 굉장히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팽창하는 속도가 계속해서 빨라지는 게 문제예요. 무한한 시간이 지나도 아주 먼 우주의 빛은 계속 멀어져 지구에 도달할 수 없을 테니까요. # 어떤 학자는 우주 공간에 있는 사물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따라 우주가 유한한지, 무한한지가 결정된다고 해요. 즉, 우주에 있는 실제 사물의 수가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에요. 3~5월 사이 하얗고 작은 꽃을 피우는데, 살짝 분홍빛을 띠기도 하지요. 개구리발톱이란 이름을 갖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어요. 하지만 모두 한 부분이 개구리의 발가락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했지요. 줄기 가장 아래쪽에서 자라나는 뿌리잎의 모양이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