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폼페이 유적지 지킴이 로봇 개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문제가 있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월 28일 이탈리아 폼페이고고학공원은 로봇 개 ‘스팟’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어요. 스팟은 미국 로봇 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한 우리나라 현대자동차의 네 발 달린 로봇이죠. 스팟은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로 앞뒤 양옆을 모두 촬영하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두고, 세 방향에서 피사체에 손전등을 비춘다. 왜 이런 일이? -> 결과 : 손전등이 만든 3개의 그림자에서 3가지 색상을 볼 수 있다.그림자는 빛이 물체를 통과하지 못해 물체 뒤에 나타나는 검은 부분입니다. 따라서 그림자에 색깔이 생기려면 투과된 빛이 있어야 해요. 인형에 세 방향으로 빛을 ... ...
-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조건을 만족하는 하이퍼그래프를 그리기 위해 어느 점과도 짝을 지을 수 있는 몇 개의 점을 제외하고, 점을 연결하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하다보니 연결이 쉽지 않은 점들만 남았고, 그 점들을 처음에 제외한 점들과 연결했습니다. 그래프 이론에서는 이를 ‘흡수’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6명의 ... ...
- 뚜껑이 펜 안에 쏙~ 마를 걱정 없는 컴퓨터용 사인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쓸 수 없게 되지요. 모리스의 JUST CLICK 개발팀은 뚜껑을 잘 닫지 않아 생기는 불편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따로 뚜껑을 여닫을 필요가 없는 볼펜식 컴퓨터용 사인펜을 만들었습니다. 내부에 외부 공기를 완벽히 차단하는 뚜껑 역할의 ‘볼 셔터’와 ‘밀폐 장치’를 넣었어요. 즉 볼펜처럼 사인펜 끝을 ...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자라면서 치아 개수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더구나 몸의 뼈는 같은 종 안에서도 개체 간 차이가 있어요. 사람만 하더라도 덩치나 뼈의 강건함이 사람마다 다르죠. 따라서 대퇴골의 강건함이 다르다고 해도 ‘공룡의 형태가 다르다’는 사실을 충분히 입증하는 증거로 보기 어렵습니다. Q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가꾸는 걸 좋아하던 아버지와 약으로도, 음식으로도 활용되는 식물의 다양한 면을 소개한 할머니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자연 그 자체가 그의 근처에 있었다.“마을 한가운데에 커다란 팽나무가 있었어요. 절 키워준 나무기도 해요. 친구들과 모이는 장소도, 숙제하는 장소도, 책 읽는 곳도 모두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상징이 될 것으로 보인다.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는 한국도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한 달 환경 관측 장비 ‘루셈(LUSEM)’이 2024년 달로 떠날 예정이다. 기존에 관측하지 않았던 영역의 에너지를 측정한다.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예를 들어, 아무 사전 질의 없이 피험자에게 범행 도구를 포함한 7개의 흉기 사진을 보여줍니다. 만약 이 사람이 범인이라면 범행 도구 사진을 봤을 때 거짓말 탐지기에서는 뇌파 그래프가 요동치겠죠. 추가로 범죄와 관련이 없는 일상적인 질문도 검사 중간중간에 합니다. ... ...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어려운 백과사전, 신문, 연설문 등이 여기에 들어가요. 10가지로 나눈 지식 분야는 다시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고, 10 단위로 번호를 매겼어요. 각각의 세부 항목은 또다시 10가지로 구분해 1 단위로 번호를 매기지요. 예를 들어, 300번대를 쓰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정치학은 320번대로 구분하고,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차수가 4입니다. 허 교수 연구의 중요성 허 교수는 조합론적으로 정의된 교차이론을 개발해 매트로이드 연구의 새 장을 열었습니다. 따라서 조합론 측면에서는 너무도 자명합니다. 그래프나 매트로이드가 왜 중요하냐고 묻는 것은 인공지능 연구에서 행렬이 왜 필요하냐고 묻는 것과 같은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