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값어치 있게 바꾸는 촉매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산업에 유용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촉매의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A’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단원자 촉매는 금속 원자를 개별적으로 탄소 지지체 표면에 배치해 촉매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특히 ... ...
올라서면 하체 근력 강화…낙상 위험 높은 고령층 위한 스마트 의료기기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다치지 않으면서 근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20일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
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5)에서 한 방문객은 스마트 근력운동 시스템인 하스피의 ‘이짐’을 사용해본 뒤 이처럼 얘기했다. 이짐은 근력 운동을 돕는 기기로 고령층에게 도움이 된다. 하스피 ... ...
발암성 물질 제거하는 '활성탄' 재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공공 관리 체계 확산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에너지 에너지 컨버전 앤 매니지먼트 엑스’에 지난해 10월 온라인 게재됐다 ... ...
지중해 바닥서 얻은 중성미자 데이터, 우주 기원 이론 예측과 일부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중성미자 데이터를 통해 양자 중력 이론의 새로운 한계를 제시하고 연구 결과를 20일
국제
학술지 '우주론 및 천체 입자 물리학 저널'에 공개했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유령 입자'로 불리는 우주의 기본 입자다.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힘과 입자를 설명하는 표준 모형에 ... ...
인공태양 원료 리튬-6 친환경 생산 길 열어...핵융합 연구 판도 흔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공정에 버금 가는 효율이다. ● 한국도 리튬-6 분리 기술 자체 개발 필요 한국은
국제
핵융합실험로(ITER)에 참여하고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직접 운영하는 등 핵융합 에너지 초기 선도국으로 꼽히지만 에너지 상용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리튬-6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
KAIST 총장 후보 3배수 압축…김정호·이광형·이용훈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등을 역임했다. 지난달 임기가 만료된 이광형 총장은 KAIST 전산학과 조교수에서 시작해
국제
협력처장, 교무처장, 교학부총장 등을 거쳐 2021년 제17대 총장으로 임명됐다. 이용훈 전 UNIST 총장은 KAIST ICC 부총장, 교학부총장 등을 거쳐 현재 부산외대 석좌교수로 있다. KAIST 이사회가 참석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연세대, 로봇수술 연구 논문 세계 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대동맥판막의 석회화가 억제되는 현상을 최초로 밝혀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심장학회지 기초 및 중개의학'에 최근 공개됐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대동맥판막이 노화에 의해 점차 석회화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 심부전으로 ... ...
[과기원NOW] 핵융합 원료 고온 분리 신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최초로 질화붕소를 AA 구조로 쌓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공개됐다. 2차원 물질인 질화붕소는 그동안 붕소와 질소가 교차 정렬된 AA' 구조로만 적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붕소 위에 붕소, 질소 위에 질소가 쌓이는 AA 구조로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항공청, 우주항공기업 간담회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중요성을 피력하고 국가·지역·세대 간 등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가 차원의 노력과
국제
적인 협력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조기경보 격차 함께 줄이기'라는 주제가 선정됐다 ... ...
中, '미니 위성' 이용해 1만2900km 거리서 양자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거리이다. 판젠웨이 중국 과학기술대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실험은 양자 키 분배(QKD) 기술을 활용한 통신 실험에서 가장 긴 거리를 기록했다. 향후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 실현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사례로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