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미세한 변화, 메타표면 이용해 실시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지난 19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38/s41467-025-56728- ... ...
차세대 원자로 SFR 핵연료 피복관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15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뉴클리어 머티리얼즈'에 공개됐다. SFR은 액체 상태의 금속 핵연료와 피복관이 화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FCCI 현상으로 피복관이 손상돼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해결 과제다. 이를 막기 ... ...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액체 기반의 차세대 소프트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1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생체 세포의 독특한 능력을 인공 시스템으로 구현하려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생체 세포는 자유롭게 변형이 일어나고 분열·융합하며 ... ...
첫 돌 이후부터 기억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점에서 오류가 있다고 보았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팀이 2023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해당하는 쥐의 해마에 기억 흔적인 ‘엔그램’이 형성된다는 점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선 미로에서 탈출구를 찾는 ... ...
지형·기후·식생 다른 LA·의성 산불…'빠른 불'이 덮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피해를 일으키는 산불을 의미한다. 지난해 제니퍼 볼치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하루 평균 확산된 산불 면적은 2001년보다 2.5배 증가했으며 가장 피해가 큰 산불은 대부분 이 '빠른 불' 유형이었다. 산불의 치명성을 분석할 때 ... ...
우주에서의 9개월 체류, 노화 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건강이 우주로 출발할 때의 모습과 사뭇 달라졌다. UPI/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6월
국제
우주정거장(ISS)으로 떠났다가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9개월 동안 발이 묶였던 우주비행사 2명이 18일 지구로 돌아왔다. 이들이 몸을 완전히 회복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미국 ... ...
기적의 항암제 'CAR-T' 보완하는 CAR-M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다각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과 최지우 연구원이 참여한 논문은 1월
국제
학술지 ‘생체 신호 연구(Biomarker Research)’에 게재됐다. -https://doi.org/10.1186/s40364-024-00703-9 ... ...
NASA, 여성·유색인종 달착륙 계획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달 표면을 탐사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해 최초의 여성, 최초의 유색인종, 최초의
국제
파트너 우주비행사를 달에 착륙시킬 것'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1972년 아폴로 17호의 달 착륙 이후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다시 달에 보내겠다는 목표로 트럼프 집권 1기 하에서 시작된 ... ...
법 시행 날개 단 '재생의료'…'제2의 인보사 사태' 막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등은 철저히 막아야 한다”며 “윤리적 기준과 규제를 강화하고 과학적 엄격성 강화,
국제
협력 확대 등을 통해 국내에서도 좋은 치료제가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치히로 아카자와 일본 준텐도대 의학대학원 교수는 리스크가 큰 치료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지만 동시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속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내부의 에너지 생산 구조를 전례 없는 해상도로 관찰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호흡 단백질들은 미토콘드리아 막의 특정 영역에 밀집해 있고 서로 밀착해 하나의 주된 슈퍼복합체를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미경으로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