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시간 차이를 잴 수 없었을 것이다.그 후에 빛의 속도를 최초로 얻은 사람은 덴마크의
천문학자
인 뢰머였는데, 그는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공전주기를 측정하다가 우연히 빛의 속도를 계산하게 되었다.그는 이오가 목성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구가 목성을 향해서 갈 때보다 목성에서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멀리 떨어진 은하에 있는 별들의 케페우스 변수를 알아냄으로써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천문학자
제레미 모울드는 이 성운들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그보다 작은 목표는 내년 7월에 20여개의 핵을 가진 슈메이커-레비 혜성이 목성에 충돌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것이다. 이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카오스계의 일종이라는 해석이 천문학계에서도 내려졌다. 60년대 후반들어 물리학자
천문학자
생물학자들은 스메일로 대표되는 위상수학 그룹의 주장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다.스메일을 존경한 수학자 중에 제임스 요크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로렌츠를 재발견한 사람이기도 하다. 요크는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언급한 쌍성펄사다. 이는 우주에서 희귀한 존재로 전자파로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천문학자
가 작성한 카달로그에는 약 4백개의 중성자별이 기록돼 있지만 우리 은하 내에서 확인된 쌍둥이는 4개밖에 안된다. 천체물리 학자들은 이 4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주 공간에서 매년 몇개의 쌍성펄사가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지구 중심설은 천문현상을 설명하는 데 많은 결함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천문학자
들은 제멋대로 이론을 덧붙여 지구 중심설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됐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 중심체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과 중세의 신학이 결합됨으로써 중세 전체를 지배하게 된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구체적으로 어떤 별일까.베들레헴별에 대해 최초로 과학적인 접근을 했던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
인 케플러. 그는 B.C.7년에 목성과 토성이 물고기자리에 접근하는 것을 계산으로 도출해내고 이것이 예수탄생별이라고 주장했다. 고대천문학을 전공한 일본의 사이토는 케플러의 계산을 확인한 결과 B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너무나 약해 검출하기 힘든 중력파. 세계의 천체물리학자들은 이를 검출하기 위해 쌍둥이 LIGO를 비롯 지구촌 곳곳에 중력파검출기를 건설하고 있다."중력파를 잡는데는 1등이 없다. 데이터가 정확한지는 다른 안테나에서 같은 시간의 것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중력파를 누군가가 독점하려고 한다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공룡을 절멸시켰던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 당시와 거의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천문학자
들은 1천년 만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의 희귀한 현상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지금까지 밝혀진 충돌 상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할 당시의 속도는 시속 60㎞이며 목성과 혜성의 거리는 약 1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왜 은하계의 많은 별들이 대체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일까.메사추세츠 대학의
천문학자
카렌 스트롬과 그녀의 동료들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못한 오리온 성운의 남쪽자리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곳에는 수백개의 새로운 별들이 작은 무리를 지어 있었다. 그 구역에 있는 한 성운에는 10개에서 50개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별의 일생중에서 별나게 탄생한 중성자별. 에너지덩어리인 이 신비의 별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일까일본 사무라이들은 옥쇄전투를 앞두고 머리에 향수를 뿌린다한다. 잘린 목에서 피비린내가 덜 나게 하기 위함이다. 사후의 예법까지 이렇게 차려주는 장인정신(匠人精神)은 칭찬할만하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