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람들은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제돌이 등지느러미에 숫자를 새겨넣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돌고래 120마리가 뒤섞여 무리를 지어 다니는 터라 제돌이를 관찰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었다. 반대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동결낙인을 찍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 현재로선 다른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생의 업보는 계속 이어진다는 소립니다.그런데 전생을 기억하시나요? 기억한다고
주장
하는 몇몇 사람을 빼면 자신의 전생을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니, 업보는 이어지게 해 놓고 왜 기억은 안 이어지게 해 놓은 걸까요? 내가 이번 생에서 고생하는 이유를 알아야 개과천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지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도 있었다. 당시에는 뇌세포의 전기신호로 동물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
이 무척 생소했다. 그러나 후속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해마가 장소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사실이 점차 인정받았다. 런던의 택시 운전기사는 시내의 작은 골목을 비롯해 수천 개의 길 이름을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틴은 작은 새가 덩치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진화시켰기 때문이라고
주장
했다. 이를테면 독수리처럼 날카로운 발톱을 발달시키거나, 벌새처럼 빠른 기동력을 갖추는 것이다. 덩치가 작은 새는 비행에 필요한 근육이 더 발달했다거나, 싸울 때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더 활발하다거나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펜로즈는 양자역학을 이용해야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고
주장
했다. 구체적으로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학자들은 활성 수소가 풍부하고 불순물이 거의 없어서 대사활동의 면역력을 높여준다고
주장
하고 있다.미네랄 함량이 높은 미네랄 워터우리 몸은 스스로 미네랄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나 음료로 섭취해야 한다. 이 때 일반 물보다 미네랄 함량이 3~4배 더 많은 미네랄 워터를 마시면 좋다.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7월호에 실었다. 더불어 그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이 테러 방지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
했다. 5년간 미국 국방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NSA가 수집한 대량의 정보가 테러를 예측하는 데 효과적인지 연구했는데,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는 것이다.테러를 막기 위한 수학 연구에는 이처럼 양면성이 ... ...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 기호가 x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고 데카르트가 미지수로 x를 사용했다는
주장
이다. 방정식의 해를 ‘근(뿌리)’라고 하는데, 는 ‘뿌리’를 뜻하는 독일어 radix의 r과 x를 합쳐서 만들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x가 중세 시대에 미지수를 나타내던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창조됐다는 창조론이 훨씬 그럴듯하게 보 였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알고 있다. 어떤
주장
이 옳았는지. 활 달한 신종헌터 후커가 발견한 식물 종의 분포는 전 지구적인 기 후변화를 증명하는 유력한 증거로 현재까지도 활용되고 있다. 회오리바람을 타고 바다를 건넌 신종? 영국의 동물학자 알버트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프리’ 식단을 따랐다. 하지만 최근 추가적인 다른 식이요법이 병행돼야 한다는 새로운
주장
이 나왔다.이탈리아 사크레쾨르 카톨릭대 사라 파네티 교수팀은 2013년 12월까지 발표된 셀리악병과 관련 있는 모든 논문을 분석·검토했다. 분석결과 단순히 글루텐을 피하기만 한 경우에는 영양소 불균형이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