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개념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이다.“수학의 본질은 자유에 있다”고
주장
한 칸토어의 말처럼,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할 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바라며 을 마친다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태양 주위를 빙빙 도는 것이라고
주장
했다. 당시 미심쩍은 이론이였던 아인슈타인의
주장
은 실제 태양을 스쳐 지나가는 빛이 휘어지는 것이 관측되면서 사실로 증명됐다. 블랙홀이 빛나는 이유블랙홀은 어떻게 생길까?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생명을 다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스스로의 중력에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제까지 관측이 거의 불가능했는데, 최근 기발한 방법으로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
이 나와 눈길을 끈다.미국 네바다대와 캐나다 빅토리아대 공동 연구팀은 GPS 위성을 이용하면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물리학’ 온라인판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유전자는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포유류와 조류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큰 이유는 다윈이
주장
한 짝짓기 경쟁 가설이 잘 설명해 준다. 그러나 수컷과 암컷이 있는 동물인 진정후생동물(Eumetazoa)에서 포유류와 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며, 나머지는 암컷이 더 큰 경우가 지배적이다. 암컷이 더 큰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알고리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알고리듬을 끊어내기란 불가능하다. 저자의 마지막
주장
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만물의 공식’ 즉 알고리듬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그것만이 우리의 인간다움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도 있었다. 당시에는 뇌세포의 전기신호로 동물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
이 무척 생소했다. 그러나 후속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해마가 장소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사실이 점차 인정받았다. 런던의 택시 운전기사는 시내의 작은 골목을 비롯해 수천 개의 길 이름을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틴은 작은 새가 덩치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진화시켰기 때문이라고
주장
했다. 이를테면 독수리처럼 날카로운 발톱을 발달시키거나, 벌새처럼 빠른 기동력을 갖추는 것이다. 덩치가 작은 새는 비행에 필요한 근육이 더 발달했다거나, 싸울 때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더 활발하다거나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람들은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제돌이 등지느러미에 숫자를 새겨넣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돌고래 120마리가 뒤섞여 무리를 지어 다니는 터라 제돌이를 관찰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었다. 반대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동결낙인을 찍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 현재로선 다른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Y 염색체가 단순히 자손 번식을 위한 수단만은 아니었다는
주장
이다. 더구나 이 유전자들은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와 짝(상동)을 짓고 있어 매우 안정돼 있다. 그러나 Y 몰락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Y 염색체에서 발견된 핵심 유전자의 수가 아직 적기 때문이다. 그레이브즈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날 때만 이불을 ‘살짝’ 덮어주는 게 좋다는 얘기였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
이 맞는 것 같다는 반응도 있다. 직장인 Y씨는 “몸살 감기에 걸렸을 때 이불을 푹 뒤집어 쓰고 땀을 뻘뻘 흘리면서 한숨 자고 나면, 감기가 말끔하게 나은 듯한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쯤 되니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