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아니냐’ 로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로 헷갈려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리
수 범위에 포함되는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쳐야 할 때 학생들에게 위기가 찾아오죠.많은 학생들이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것을 공식화해서 기계적으로 그 방법을 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리를 이해하지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비행 50주년을 기념하는 뜻에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정말이지 50년 전
유리
가가린이 우주로 날아오른 이 사건은 러시아 최초의 도전임과 동시에 인류 최초의 도전이라는 생각이 든다.1961년 4월 누구도 가 보지 못한 우주로 날아오르기 위해 지름 2m정도의 보스토크호 캡슐 안에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하려면 렌즈가 볼록하지 않고 평편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우리 주변에 쓰이는
유리
창은 초점거리가 매우 길고, 빛이 평행하게 들어오도록 만들어졌다는 사실도 새삼 깨달았다. Ⅶ. 실제 관측 2010년 2월 21일 관측한 내용 1. 직접 천체 관측 준비 - 망원경 조립하며 관찰 준비 2. 관찰내용 학교에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활용한 장비다.이처럼 전력 기반 시설을 초전도체로 바꾸면 효율이나 용량 측면에서
유리
하다. 그래서 초전도 기술은 차세대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요소이기도 하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한 고효율 전력망이다. 전력 공급자가 소비자와 양방향으로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유리
실린더를 통해 보아야만 알 수 있답니다. 그림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유리
잔을 통해 그림을 보면 해골이 나타나요!홀바인은 왜 해골을 변형시켜서 그렸을까요? 여기서 해골은 삶의 무상함을 상징해요. 멋진 과학 기구 아래 숨어 있는 해골은 화려한 삶의 주변에 어른거리는 죽음의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때 방사광가속기 2대를 추가 건립하느니 일단 중이온 가속기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편이
유리
하다는 의견도 많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과학기술자들의 요구와 연구수요를 생각해 계획을 다시 조정할 생각”이라며 “가속기의 실제 건설 여부는 2012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백,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탐구와 연구 환경이 잘 갖춰진 학교가 바로 명문대가 된 거지. 명문대를 가려면 과학고가
유리
하고 또 교육 혜택이 더 좋기 때문에 진학하는 거고. 그러면 과학고를 가기 위해 얼마나 열심히 노력해야 되는지 알겠지?” 지금 당장 과학고에 가기로 결정한 건 아니지만, 선생님은 그런 길도 있다는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도체를 잉크롤러로 한번 쓱 밀면 반도체가 인쇄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자동차
유리
창 자체에 화면이 바로 뜨는 내비게이션을 만들 수 있다.심장에 칠하는 초박막 반도체초박막 반도체는 유연하기 때문에 어떤 모양의 물체에도 붙을 수 있다. 고 교수팀은 표면에 구멍이 잔뜩 난 골프공에도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보다는 수직이착륙 기술을 도입해 둥실 떠오른 뒤 공중에서 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유리
하기 때문이다. 만일 지상에서 음속 이상의 속도를 내 이륙하려면 지금보다 활주로가 3배 이상 길어져야 한다. 박상혁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는 “활주로를 달리다가 이륙하면 양 날개에서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개 욕실이나 냉장고 아래, 세탁기 뒷면 등에 잘 생긴다. 추운 날 실내외 온도 차이로
유리
창에 이슬이 생기거나(결로) 세면대나 싱크대처럼 오랫동안 물 얼룩이 남아 있는 곳에서도 잘 번식한다. 눈에 보이는 장소에 곰팡이가 번식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걸레로 닦아내거나 약품을 뿌려 없앨 수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