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유리
실린더를 통해 보아야만 알 수 있답니다. 그림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유리
잔을 통해 그림을 보면 해골이 나타나요!홀바인은 왜 해골을 변형시켜서 그렸을까요? 여기서 해골은 삶의 무상함을 상징해요. 멋진 과학 기구 아래 숨어 있는 해골은 화려한 삶의 주변에 어른거리는 죽음의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비행 50주년을 기념하는 뜻에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정말이지 50년 전
유리
가가린이 우주로 날아오른 이 사건은 러시아 최초의 도전임과 동시에 인류 최초의 도전이라는 생각이 든다.1961년 4월 누구도 가 보지 못한 우주로 날아오르기 위해 지름 2m정도의 보스토크호 캡슐 안에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범인을 검거하기가 쉬워진다. 피해자와 범인 사이에 옷 섬유가 교환되는 것은 물론, 깨진
유리
창 파편이 범인의 신발 밑창에 박혀 있거나 피해자의 머리카락, 옷 섬유 등이 자동차에 남기도 한다. 달리던 차에 사람이 부딪치면 순간적으로 뜨거운 열이 가해지면서 차체나 범퍼에 있던 페인트가 녹아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활용한 장비다.이처럼 전력 기반 시설을 초전도체로 바꾸면 효율이나 용량 측면에서
유리
하다. 그래서 초전도 기술은 차세대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요소이기도 하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한 고효율 전력망이다. 전력 공급자가 소비자와 양방향으로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하려면 렌즈가 볼록하지 않고 평편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우리 주변에 쓰이는
유리
창은 초점거리가 매우 길고, 빛이 평행하게 들어오도록 만들어졌다는 사실도 새삼 깨달았다. Ⅶ. 실제 관측 2010년 2월 21일 관측한 내용 1. 직접 천체 관측 준비 - 망원경 조립하며 관찰 준비 2. 관찰내용 학교에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나기도 했다. 설탕 결정의 반 정도에 해당하는 질량이다. 국제 킬로그램 원기를 보관하는
유리
관 속 기체가 조금씩 빠져나가 원기의 질량에 영향을 주었던 걸까. 아니면 한 번씩 꺼낼 때마다 조금씩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붙어서 복사본의 질량이 더 늘어난 것일까. 아쉽게도 이 물음에 과학자들은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낡은 동전이 금화로 변신하고 있어요. 이리로 와서 안을 들여다봐요.”“우아∼.”
유리
창 너머로 플라스마 상태의 아르곤 가스가 분홍색 빛을 내뿜으며 금을 분해하기 시작하자 학생들 사이에서 탄성이 나왔다. 분해된 금가루가 눈처럼 흩어지는 모습이 펼쳐졌다. 금가루는 동전 위에 차곡차곡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때 방사광가속기 2대를 추가 건립하느니 일단 중이온 가속기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편이
유리
하다는 의견도 많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과학기술자들의 요구와 연구수요를 생각해 계획을 다시 조정할 생각”이라며 “가속기의 실제 건설 여부는 2012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백,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탐구와 연구 환경이 잘 갖춰진 학교가 바로 명문대가 된 거지. 명문대를 가려면 과학고가
유리
하고 또 교육 혜택이 더 좋기 때문에 진학하는 거고. 그러면 과학고를 가기 위해 얼마나 열심히 노력해야 되는지 알겠지?” 지금 당장 과학고에 가기로 결정한 건 아니지만, 선생님은 그런 길도 있다는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보다는 수직이착륙 기술을 도입해 둥실 떠오른 뒤 공중에서 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유리
하기 때문이다. 만일 지상에서 음속 이상의 속도를 내 이륙하려면 지금보다 활주로가 3배 이상 길어져야 한다. 박상혁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는 “활주로를 달리다가 이륙하면 양 날개에서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