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같은 컴퓨터 기술이 활용된다”며“수학과 프로그래밍을 잘 이해할수록 모형 개발에
유리
하다”고 말했다. 가장 최신의 수학적인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응용하거나 새롭게 이용하면 빠르면서도 더 정확한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특히 많은 과학 분야에서 최신 수학연구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사고력과 계산능력을 길러야 한다. 물리는 수리적 분석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유리
하므로 미적분 계산 능력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간단한 미분방정식 계산과정을 포함한 연습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심층 구술면접에 대비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화학은 기본 개념부터 충실히 ... ...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산소호흡능력이 좋았다.킬렌 교수는 “물고기는 먹이를 얻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데
유리
하기 때문에 무리지어 다닌다”며 “무리가 가장 빨리 움직이기 위해 가장 산소호흡능력이 좋은 물고기가 앞장선다”고 말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펩타이드와는 작용하지 않는다. 조류 중에서도 유해하지 않은 종류는 세포외막이
유리
와 같은 물질로 덮여 있어 펩타이드와 반응하지 않는다. 유해조류만 선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어류를 비롯한 다른 생물이 먹어도 소화기관에서 효소가 펩타이드의 활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피해를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비와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 새 로켓을 또 다시 개발하는 것보다는 이 편이 더
유리
하다”고 소개했다.4개의 로켓으로 이뤄진 1단 로켓의 점화가 끝나면 2단 로켓이 점화된다. 2단 로켓은 1단에 들어간 것과 똑같은 75t 추력의 로켓이다. 그 위에 마지막으로 3단 로켓이 실려 있는데, 5~10t 정도의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클수록 카메라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빛에 민감하면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찍을 때
유리
하다.감도가 ISO 200인 상태에서 조리개를 F2.8, 셔터속도를 1/30로 두고 찍었더니 흔들린 사진이 나왔다면 감도를 ISO 800으로 바꿔보자. 셔터속도를 1/60 이상으로 빠르게 할 수 있어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한 허리케인을 제조하는 장치 같다. 그리고 ‘미세 폭동유도기(왼쪽)’는 노란색
유리
에서 음파가 나와 사람들의 마음을 흥분시킬 것 같다. 작가는 냉전의 종식과 더불어 핵전쟁과 첩보전의 위협은 줄어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이제는 현대의 소비주의 문화가 우리를 전면적으로 공습하고 있는 것은 ... ...
나에게
유리
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지원하는 대학의 심층면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비한다(). 노력만이 수시를
유리
하게 만든다 이처럼 수시는 현재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이상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이자, 수능 성적이 뜻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 ‘보험’이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수시지원을 고민할 때 가장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포유류 못지 않다. 이런 장점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협업으로 이겨 내기에
유리
하다. 2009년 9월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에린 펄프교수 연구팀은 또 다른 초개체인 개미가 특정 장소를 발견하고 동료들에게 알리는 방식을 흉내 낸 프로그램을 만들어 네트워크의 취약성을 찾아 보완하는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험을 수행하려고 한다면 결과를 되도록 정량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
하다. 또는 yes/no로 결정되는 정성적인 결과를 이용해보는 것도 좋다. 특히 비교군이나 대조군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가설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봉착했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