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등대에 저장되어 있던 자료란 아마도,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역사에서 완전히 지워버리지 못한 옛 육체를 재조립할 수 있는 정보였을 것이다.그리고 등대 주인과 나는 지금 생물학적 육체가 주는 생존의 쾌감과 구속력을 동시에 맛보면서, 서로 외계 지성체의 눈치를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유명하죠. 그런데 사실 맨체스터시는 18세기 말 직물 공업으로 산업혁명을 일으킨 역사적인 공업 도시기도 합니다. 맨체스터 과학기술대(UMIST)는 이렇게 ‘뼛속까지’ 공업 도시인 맨체스터의 가장 큰 대학교이고요, 그 한가운데에 영국국립그래핀연구소(The National Graphene Institute, NGI)가 있습니다.검은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삼아야 할 만큼 지루하지 않다. 저자의 전공 분야인 입자물리학을 중심으로 문학과 역사, 미술, 종교까지 다양한 분야를 넘나든다.랜들 교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이 어떻게 연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무엇을 알아냈는지 쉬운 비유를 들어 차근차근 설명한다. 그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아직 진행 중?고양이 길들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고양이는 개보다 인간과 함께 산 역사가 짧은 데다(개는 3만 년, 고양이는 9500년), 개나 다른 가축들과 달리 통 쓸모(?)가 없어서 의도적으로 교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선택압을 덜 받았다는 뜻이다. 다른 동물에 비해 연구도 활발하게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른 곳에서 처음으로 찾아낸 지성을 가진 존재였으니까. 여왕은 우리가 모르는 우주의 역사를 알고 있었으니까. 우린 공간을 접어 빛보다 빨리 움직일 수 있는 꿈꾸는 기계를 만들어 그것을 타고 벨라트릭스까지 왔어.그런데 우리가 도착하기 직전에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났어. 여왕이 ... ...
- [교과연계수업] 현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6000~3000년에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물물교환 내역을 기록하기 위해 문자를 만들고, 역사상 최초의 돈인 ‘셰켈’을 사용했어요. 당시 ‘셰켈’은 보리의 양이자 무게의 단위로 사용됐어요. 이를 ‘물품화폐’라고 해요. 그런데 물품화폐는 부피도 크고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후손, 보물을 잃다우리나라의 긴 역사 속에는 수많은 왕이 있습니다. 왕의 진짜 모습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십여 곳에 나눠 보관할 만큼 어진의 수와 종류가 많았습니다.어진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대표와 사회자 슬금슬금 무대 밖으로 나간다. 무대엔 뉴트로필만 서있다)현대 면역학의 역사는 100년이 넘지만, 그 동안은 개별적인 면역 세포의 종류와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뉴트로필은 침입자를 공격하는 단순한 세포로 취급됐습니다.하지만 면역 세포 간의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6000~3000년에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물물교환 내역을 기록하기 위해 문자를 만들고, 역사상 최초의 돈인 ‘셰켈’을 사용했어요. 당시 ‘셰켈’은 보리의 양이자 무게의 단위로 사용됐어요. 이를 ‘물품화폐’라고 해요.그런데 물품화폐는 부피도 크고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게 됐는데, 오히려 이런 일들이 저의 호기심에 불을 붙여 주었어요. 왕릉에 얽힌 역사적 비밀과 현재의 이야기들을 자세히 알고 싶어졌거든요. 총 40기의 왕릉을 모두 탐방하고 이 내용을 기사로 써서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에 올릴 계획이랍니다.”“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어려운 과학적 사실들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