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충격의 3연패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첫 대국 결과는 예상을 뒤엎고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측했던 것과 다르게 경기 ... 생겼다면, 관련된 지식을 늘려보는 것은 어떨까? 그렇게 시작한 공부가 미래 인공지능 역사의 중심에 서게 되는 출발점이 될지도 모른다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랫동안 서비스 중인 온라인 롤플레잉게임(MMORPG)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매일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셈이다. MMORPG란 수천 명 이상의 게임 플레이어가 동시에 온라인에 접속해 주술사, 궁사, 전사 등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게임이다.게임의 맵은 그래프!바람의 나라는 어떻게 탄생하게 됐을까?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저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이들을 괴롭히고 있는 이 나라의 어두운 역사가 원망스러워집니다. 내일은 어둠의 세상에 처음 발을 디뎠던 아레스 루이스 수녀님을 만나 당시의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한국은 저와 인연이 매우 깊은 곳입니다. 이곳 캄보디아에 오기 전에 ...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신하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늘 강팀이었지만 최근 몇 년간은 리그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심지어 지난 시즌에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고, 이 사실은 스카이워커스팬뿐 아니라 배구 팬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이었다.그런데 1년 뒤, 팀이 달라졌다. 플레잉코치였던 최태웅 신인 감독이 취임한 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것이 바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다. 정적인 무대 역할만 하던 시공간이 인류 역사에서 처음으로 동적인 대상으로 바뀐 것이다. 시공간은 우주를 구성하는 다른 많은 요소들과 연결돼 함께 극을 이끌어 가는 주인공이 됐다. 시공간의 출생신고서?그러나 일반상대성이론은 ‘주어진’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세워졌다. 미국에서 ‘시체농장’이라고 하면 대개 테네시대의 시체농장을 말한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소설이나 드라마, 방송에도 가장 많이 소개됐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로서 박사과정을 보낸 5년 동안 이곳이 나의 일터이자 연구실이었다.시체농장을 설립한 사람은 테네시대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류세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 변화들이 서서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지구역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일어났고 현재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국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연구실 책임연구원은 “국내 자연호수나 침전조에서 시추한 퇴적물의 상층에는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용한 바둑 정책망 수립 기술은 알파고가 개발되기 전 이미 나와 있었다. 짧은 역사를 고려하면 현재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해마다 스타크래프트를 공략하기 위해 재기발랄한 아이디어들이 계속해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2014년 우승자인 캐나다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뤄낸 기술의 산물이다. 바꿔 말하면 인간의 역사는 도구 발명의 역사이자, 재료 발견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석기시대에 이어 금속시대로 문명의 진화를 이끈 7대 금속광물이 있다. 금, 은, 구리, 납, 주석, 철, 수은이 그 주인공이다.특히 백연석의 주 성분인 납은 기원전 3500년경부터 인간 생활에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쪽 | 1만4000원과학동아 기자들이 어떤 주제를 깊이 다루고자 할 때, 꼭 넣는 게 있다. 바로 역사다. 그게 재미를 더해서이기도 하지만, 사실 위대한 과학자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