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기"(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레드’, 파래는 ‘그린’, 미역은 ‘브라운’우리가 자주 먹는 김, 파래, 미역은 언뜻 보기에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각각 다른 색을 띠고 있어요. 김은 붉은색, 파래는 녹색, 미역은 갈색이지요. 각각 홍조류, 녹조류, 갈조류에 속해요. 이렇게 다른 색을 띠는 이유는 광합성에 관여하는 색소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이사벨’이라는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명쾌하게 ‘케플러의 추측’을 다시 증명해 보기로 결심했다. 이 프로그램은 300페이지에 달하는 수학 증명의 한 줄 한 줄을 따라가며 논리 구조를 검증하도록 알고리즘이 짜여져 있다.마침내 지난 8월 10일, 헤일스 박사의 증명은 100% 정확한 것이라는 ... ...
- 위대한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직접 타서 확인하려고 한다.미션2 360도 안전 그네“이번에 소개할 장난감은 그네입니다. 보기보다는 정말 안전해요.”한번 타기 시작하면 재미있어서 내려오기 힘들다는 그네였다. 그런데 문제는 얼마나 튼튼한지 썰렁홈즈가 직접 타 봐야 한다는 것!미션3 동물친구 미로정원“이번에는 친환경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가릴 수밖에 없다.이번 토성 엄폐 현상은 9월 28일 낮 12시에 시작된다. 낮이라 맨눈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누구나 관측이 가능하다.붉은 보름달이 뜬다다음 달인 10월 8일에는 붉게 물든 특별한 보름달을 볼 수 있다. 바로 개기월식 덕분이다.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상에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많은 학생들이 줄을 서 있었다. 수학이라면 빠질 수 없는 독자기자들도 한 번 도전해 보기로 했다.“이 퍼즐은 유명한 퍼즐 발명가인 샘 로이드 만든 숫자퍼즐이에요. 16×16 격자 안에 배열된 15개의 숫자조각을 빠른 시간 내에 순서대로 배열하는 게 이 게임의 핵심이지요.”같은 시간, 다른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싶은데 갈 수가 없어요~!러시아 수학자 세르게이 노비코프와 그리고리 마르굴리스가 보기에는 자발적으로 필즈상을 거절한 수학자들이 ‘배부른 사람들’일 수도 있다. 두 사람은 정부의 반대로 필즈상 시상식에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세르게이 노비코프와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는 각각 197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분야다. 새로운 기술이 나와 판도를 바꿀 가능성을 무시하기 힘들다. 서울시립대 정보기술관 지하에 마련된 안 교수의 실험실에서는, 지금도 이런 혁신을 바라는 연구자들이 초미시 세계의 꿈을 꾸고 있다. 상용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캐나다 ‘D-WAVE’사의 컴퓨터. 그러나 진짜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높이에서 날게 만들었기 때문에 엄밀히 군집로봇 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다.그런데 최근, 헝가리 연구팀이 드론의 야외 군집비행 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2월 26일, 저널 ‘네이처’는 헝가리 에오트보스 로란드대 물리학과 타마스 빅세크 ... ...
- 아이디어 발전소1 - 귀로 말하는 이어폰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기존 이어폰 줄에 설치돼 있던 마이크를 귀에 꽂는 스피커 속으로 넣은 것이다. 겉으로 보기엔 마이크가 없지만, 이어폰만 귀에 꽂아도 통화가 가능하다. 주변 소음은 전달되지 않는다.‘이어톡’이라는 이름을 붙인 제품은 호평받았지만, 정작 문제는 따로 있었다.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그야 당연히 빨간 색이라고 말한다면 이건 양자역학을 모르는 거다. 측정하기 전에, 즉 보기 전에 알약의 색깔에 대해서 아무것도 알 수 없다.양자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에 따르면 측정하는 순간 색이 정해진다. 측정이라는 행위가 대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측정이 대체 무엇이냐고 물으면 “입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