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기"(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겹눈!눈이 많다고 무조건 좋을까요? 그렇지 않아요. 곤충의 겹눈은 세상을 모자이크처럼 보기 때문에 사람처럼 선명하게 볼 수 없답니다. 시력이 좋은 것도 아니고, 입체감을 느끼지도 못해요. 하지만 물체의 움직임에는 매우 민감해요. 주변에서 무언가가 조금만 움직여도 금방 눈치를 채죠. 주변의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래서 만약 우주선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블랙홀 외부에 있는 사람이 보기에는 우주선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우주선이 블랙홀에 다가갈수록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사건의 지평에 다다르면 아예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블랙홀의 중력이 너무 강해 우주선의 시간이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고정시키고 얇게 만드는 과정에서 훼손시킬 우려가 있는데, STED는 살아있는 시료를 직접 보기 때문에 좀 더 실제에 가까운 모습을 볼 수 있다. 필자는 2006년 학회에서 우연히 헬의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그의 연구실에서 공부하게 됐다. 헬은 특이한 교수였다. ...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년 뒤인 1983년, 지구에는 75년 만에 찾아온 핼리혜성 열풍이 불었다. 핼리혜성을 가까이서 보기 위해 러시아, 일본, 유럽이 각자 관측선을 보냈다. NASA도 탐사선을 발사하고 싶었지만 예산이 부족했다. 이때 ISEE-3호의 책임자이자, 수학자였던 로버트 파커는 이 탐사선의 궤도를 조절해 핼리혜성을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왔다. 누구나 쉽게 과학과 친해지게 해보자나름 자신감이 생기자 새로운 밥을 지어보기로 했다. 일반 대중을 위한 과학 입문서였다. 이 과장이 기자에게 제일 먼저 보여준 책도 ‘영화 속에 과학이 쏙쏙’이었다. 빛, 힘, 유전 같은 과학 개념을 영화를 통해 설명한 이 책은 처음 나온 2003년부터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정말로 완전무결한가’로 판단한다. 선한 행동을 한 사람을 두고 행위의 좋은 점을 보기보다 부족한 점에 촉각을 세운다. 흡사 ‘언제나 호시탐탐 노리는 군대 선임 같다. 이런 깐깐한 기준 때문에 우리는 선한 일을 할 때면 남의 눈치를 보며 자기검열을 하게 됐다.사람들이 이런 엄중한 잣대를 ... ...
- [만화뉴스] 수학으로 소설 미리 보기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시리즈 소설의 마지막 장은 종종 다음 편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면서 끝난다. 그런데 최근 수학으로 소설의 대략적인 전개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뉴질랜드 캔터뷰리대 리처드 베일 교수는 조지 마틴의 장편 판타지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 7부 중 아직 출간되지 않은 6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뿐이다. 어떤 문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은, 그것을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보기에는 천재적이다. 하지만 그건 수많은 사고의 결과물일뿐이다. 융합형 인재는 스스로 품게 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주도적으로 고민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슛~!드디어 복장 완료! 멋지게 한 골을 넣어 주겠어. 슈우웃~! 아이코!흑흑, 골대까지 가 보기는커녕 자꾸 상대 팀 선수에게 공을 빼앗겨.하하, 골대에 공을 넣어 득점하려면 내가 꼭 넣어야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해. 축구는 골대까지 공을 몰아갈 때 우리 팀 선수끼리 협력해야 하는 운동이거든!공을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를 보게 될까?’ 과학자의 도움이 필요했다. 다시마와 바나나껍질로 필름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상상은 예술가의 몫이었지만 그걸 현실로 만들어낸 것은 과학자였다. 다시마와 바나나껍질로 만든 필름이 컨테이너 한 편 스크린에 투영되고 있었다.많이 만나고 친해지자!“과학자의 공간에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