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용어 따라잡기] 오로라, 헤모글로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대전 입자는 지구로 들어와 오로라 빛을 만든답니다. 헤모글로빈(hemoglobin) 우리
몸
을 이루는 세포는 모두 산소를 필요로 해요. 발가락 세포부터 뇌세포까지 예외 없이 산소가 있어야 움직이지요. 이런 산소는 들숨을 통해 폐로 들어와서 혈액을 통해 각 세포로 이동해요. 이때 산소를 운반하는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큰 집게발을 위아래로 부딪히며 먹이를 사냥해요. 집게발을 튕기면 순간적으로 자기
몸
의 150배 되는 힘으로 수중파가 나가며 눈앞의 생물들이 뇌진탕에 걸리게 하거든요. 10cm 크기의 딱총새우가 집게발을 튕기면 딱밤을 맞는 것처럼 아프니까 조심하세요.”또, 대원들은 버니어캘리퍼스와 저울을 ... ...
[과학뉴스] 노벨상에 앞서 발표된 ‘별별 과학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발표 당시 비웃음을 샀지만 인류의 건강에 큰 기여를 했어요. 투구게의 피는 우리
몸
에 들어가는 주사액이 세균에 감염됐는지 확인하는 시약으로 쓰이고, 로즈 교수의 발견 덕분에 훗날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지요. ... ...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모기가 있다면 용의자를 추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흡혈 곤충인 모기는 피를 빨면
몸
이 무거워져 멀리 날아갈 수 없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모기 피로 DNA를 찾아낼 수 있는 시간은 48시간이에요. 모기가 피를 소화하는 동안 DNA 구조가 깨지기 때문이랍니다. DNA 분석 어떻게 하나?DNA는 세포의 핵 ... ...
[어과동 창간 15주년] 15년 동안 함께 한 홍승우 작가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펜으로 하나하나 그릴 때부터 만화를 그렸는데 그때 마이보를 그렸다면 동그란 얼굴과
몸
을 일일이 그려야 했을 거예요. 지금은 몇 번의 터치만으로도 마이보의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답니다. Q웬만한 과학 상식은 다 꿰고 계실 것 같아요.워낙 잘 까먹는 성격이라 대부분 머리에 남아 있지 않아요.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를 동시에 하는 엑소슈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뛰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엑소슈트를 입으면 에너지 소모량이 감소해 걷고 뛸 때
몸
무게가 각각 7.4, 5.7kg 가벼워진 상태에서 움직이는 효과인 것을 확인했어요. 이 슈트는 허리에 매달아둔 배터리를 한번 충전하면 최대 8km까지 달릴 수 있게 만들어졌답니다.이기욱 교수는 “이 로봇은 노약자의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이뤄져요. 물은 물에 녹는 때는 지울 수 있지만 기름때는 지우지 못해요. 그런데 우리
몸
에서 배출되는 땀이나 피지같은 오염물질과 화장품이나 음식물 같은 외부 오염물질은 주로 기름때예요. 이 기름때는 비누나 세제로 지울 수 있답니다.그런데 세제는 어떻게 기름때를 지울까요? 세제는 ... ...
[식물 속 동물] 고슴도치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중에서 유일하게 가시털을 지녔어요. 위협을 느끼면 털을 가시처럼 꼿꼿하게 세우며
몸
을 동그랗게 말아 뾰족뾰족한 밤송이 모양으로 만들지요. 덕분에 고슴도치는 올빼미와 부엉이 같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답니다.위협을 느낀 고슴도치와 비슷하게 생긴 열매를 식물에서도 볼 수 ... ...
도전2 지상에서 우주 탐사 따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얇아지고 뼈의 강도도 약해져요. 실험에서 머리 방향으로 6° 기울어진 침대는 우리
몸
에 미치는 중력의 영향을 줄여요. 무중력 공간을 비슷하게 재현한 거예요. 참가자들은 우주에 있는 것처럼 피가 머리 쪽으로 쏠리고 근육과 뼈가 점점 약해져요. 올해부터 참가자 일부에게는 새로운 실험이 ...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7호
민감성 역시 알레르기 반응의 한 종류예요. 이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밀가루를 먹으면
몸
에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가려워, 평생 쌀이나 콩 등 글루텐이 없는 재료로 만든 빵을 먹을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같은 빵이라도 밀가루로 만든 빵과는 식감이 완전히 다르답니다. 글루텐이 빵의 식감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