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유전자 분석으로 성염색체(암컷은 ZW, 수컷은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목격한다면 위에 있는 개체가 수컷, 아래에 있는 개체가 암컷”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갈림길도 금세 지나가도록 할 거예요. 이외에도 최 교수는 약물을 전달하는 로봇과 몸에서 분해돼 안전하게 없어지는 로봇 등을 만들었어요. 이들이 사용되려면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거쳐야 한답니다. 인체 밖에서는 어떻게 움직일까?마이크로로봇은 크기가 작아 모터로 움직일 수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먹어보고 이 밥을 인간이 먹어도 안전한지 확인하거든요. 우리는 1g만 먹으면 되는데, 몸무게가 2.5kg인 토끼는 100g을 먹어야 한대요. 게다가 한 명만 먹으면 안 되고 여러 명이 먹어야 하니 경제적인 면에서도 우리만 한 동물이 없죠. 참고로 2018년 한 해 동물실험에 참가한 친구들 중 38%(141만5631마리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비타민A의 전구물질로, 주로 녹황색 채소나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다. 베타카로틴은 우리 몸에 흡수되면 장과 간에서 비타민A인 레티놀로 전환되는데, 레티놀은 다시 레티날로 바뀌고 시각색소로 활용된다. 비타민A가 부족하면 여러 결핍증이 생긴다. 특히 시각색소와 관련된 성분인 만큼 비타민A가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단백질이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처음으로 제안했다.우리 몸의 유전자는 2만3000여 개지만, 단일 시냅스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는 최대 2000개 정도로 추정 중이다. 특히 시냅스 접착 단백질은 현재까지 약 30여 종의 단백질군(family)이 확인됐을 뿐이다. 1990년대 뉴렉신과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짧은 시간에 많은 열량을 섭취한다”며 “이런 전략은 짧은 시간에 지방을 축적하고 큰 몸집을 만드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904 ... ...
- [한페이지 뉴스] 조류인플루엔자가 사람에 감염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조류인플루엔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몸 안에서는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막단백질 ‘M1’을 충분히 만들지 못해 인체 감염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폐와 신장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제어의 편의성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변화는 발목 부분이다. 발목은 몸의 무게중심이 되는 배꼽 근처에서 멀고, 동작이 많아 가벼우면서도 큰 힘을 내야 한다. 공 교수는 사람 근육의 움직임과 동작을 본 따 웨어러블 로봇에 스프링 역할을 하는 탄성체 구조를 넣었다. 그 결과 기존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구분되지 않는 시대가 올 것 같아요. 포스트 휴먼 시대에는 한 사람이 수백 개의 뇌와 몸을 갖고, 디지털과 실재의 경계도 허물어져 더는 육체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는 존재로 변모할 수 있어요. 수백 개의 육체가 지구 곳곳에, 혹은 우주 저편의 또 다른 행성에까지 동시에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거죠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들 수 있다. 다만 규소 생물은 탄소 생물처럼 몸이 유연하지 않고 뻣뻣할 것이다.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유연한 관절 구조가 있어야 한다. 만약 우리처럼 산소로 호흡한다면, 고체인 이산화규소를 뱉을 테니 배출 수단도 있어야 한다. 물론 공기가 없는 소행성 지대에 사는 엑소고스는 호흡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