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볼 수 있게 해 준답니다. 또 헤드셋은 외부의 빛이나 풍경을 볼 수 없도록 눈 주변에 꼭 맞춰 쓰도록 되어 있어요. 화면이 눈앞에 꽉 차기 때문에 지금 보고 있는 영상이 내가 있는 현실처럼 느껴지게 되지요.헤드셋에는 핵심 부품이 하나 더 들어 있어요. 바로 머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 앞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달걀-빵가루 묻히기를 훌륭하게 해냈어요. 샘킴 셰프는 밀가루-달걀-빵가루 순서를 꼭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어요.“밀가루는 재료에 달걀이 잘 묻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해요. 액체 상태인 달걀을 재료에 바로 묻히면 그대로 흘러내리거든요. 밀가루의 아주 작은 입자가 재료와 달걀 옷 사이에서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낸다.그러나 스피커를 무한히 많이 설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녹음되지 않는 공간이 꼭 생긴다. 이 경우 추출한 음원의 경향에 따라 함수를 구한다. 다시 말해, 유한한 개수의 음원으로 연속 함수를 만들어 녹음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20°의 삼각비는 교과서 맨 뒤쪽의 삼각비표를 보고 읽을 수 있어야 통과한다는 규칙을 꼭 지킬 것!거꾸로 땅따먹기 각 모둠은 특정 범위 내에서 2~3문제를 내고 문제마다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중 문제는 10cm×10cm의 땅을, 하 문제는 5cm×5cm의 땅을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막장 쪽으로 안내했다. 막장은 굴착하는 터널의 가장 안쪽 벽이다. 머리 위 안전모를 꼭 붙들고 막장으로 걸어가자 ‘쏴아아’하는 소리가 들렸다. “이거…, 물 소리인가요?”라고 묻자 함께 간 주채만 현대건설 과장이 고개를 끄덕였다. 기자가 순간 긴장할 정도로 물 소리가 제법 컸다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나무. 대부분 2m 이하로 낮게 자란다.* 일조량 : 식물이 낮에 햇빛을 받는 양. 진달래속은 꼭 종을 구분해야 한답니다. 왜냐하면 먹어도 되는 종과 독이 있는 종이 섞여 있기 때문이에요.진달래(위쪽 사진)는 먹을 수 있는 꽃으로 ‘참꽃’이라고 불려요. 꽃잎을 생으로 먹거나 떡, 화채, 차, 술 등으로 ... ...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장 재미있었던 종목은 무엇이었나요? 저는 올림픽이 열리면 언제나 양궁 경기를꼭 챙겨본답니다. 저도 게임으로라도 양궁 경기에 출전해보기로 했지요.양궁 게임은 실제 경기와 마찬가지로 화살을 날려 과녁을 맞혀요. 정중앙에 가까울수록 점수가 높지요.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을 댔다가 떼면,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게임 개발자에게 게임 제작을 배울 수 있다는 게임카페가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이건 꼭 해야 해’라는 생각에 지원했습니다.(웃음)물론 재미있었어요. 게임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직접 경험해볼 수 있어서 좋았지요. 사실 저는 게임을 빨리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앱어랜드’라는 자율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금까지 모든 뇌 질환 연구는 1988년 처음 뇌지도로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에너지가 낮은 상태(안정)가 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어디에선가 꼭 작대기가 어긋나고, 짝을짓지 못한 사람들은 불안하다. 물리학적으로는 에너지가 높아 불안정한 상태다.마찬가지로, 1차원 구조에서 전자와 포논의 1대 1 매칭은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에너지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