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잘 설득할 수 있었어요. 저는 미술을 전공해서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나타냈지만, 꼭 그림일 필요는 없거든요. 떠오른 아이디어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Q 발명가에게 가장 중요한 건 뭐라고 생각하세요?한 우물만 파라고 조언해 주고 싶어요. 아이디어는 계속 공격을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날 기상청에 기록된 낙뢰는 없었다. “순직한 소방경과 아는 사이였습니다. 화재원인을 꼭 밝혀내겠다고 다짐했죠.”박 팀장을 포함해 총 7명으로 꾸려진 연구팀은 서해대교 화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제기된 가설들을 일일이 실험하기로 했다. 당시까지 제기된 가설은 두 가지. 케이블끼리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아직 실험실 설치도 끝나지 않았다(내년 초에 완성된다). 하지만 UNIST가 “김 교수를 꼭 소개해야 한다”고 추천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기술기업 창업이라는, 과학기술계의 ‘숙원 사업’을 앞서서 실현하고 있는 몇 안 되는 국내 연구자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약품을 쓰지 않고, 오직 ...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잘못된 욕심이 낳은 가슴 아픈 비극이에요. 두 번 다시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꼭 필요한 화학물질에 대한 더 깊은 관심과 고민이 필요한 때가 아닐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습기 살균제, 무엇이 문제였을까?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ADHD) 진단을 받고 약을 먹기도 했어요. 자기 주장이 강한 건 물론이고, 친구들 사이에서 꼭 골목대장을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탓에 많이 싸웠어요. 찬찬히 책을 잘 읽지 못해 과제를 빨리 마치면 부모님과 선생님께서 하고 싶은 일을 하게 해줬어요.닥터심슨은 얼마 전까지 XTM의 ‘F학점 공대형’에서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름을 붙여 주기도 한답니다.혹시 난생처음 보는 버섯을 발견하게 되면 국립수목원으로 꼭 연락해 주세요. 어쩌면 여러분이 발견한 버섯이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신종일지도 모르니까요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있어요. 하지만 중·고등학생도 자전거를 타다가 머리를 다칠 수 있어요. 귀찮더라도 꼭 안전모를 쓰도록 하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재부팅’할 안내서 ‘지식’을 썼다. 불을 피우고 깨끗한 물을 얻는 법 등 당장 생존에 꼭 필요한 지식뿐만 아니라 인류가 쌓은 과학문명을 재건할 방법까지 담았다.그는 “과학을 공부하는 것과 실제 삶 사이에 괴리가 크다고 느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했다. 항공사 엔지니어로 늘 무언가를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끼치는 것은 아니다. 카치오포 교수는 2013년 9월, 외로움은 인류가 오래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한 감정이며, 특히 사회를 이루면서 살아가도록 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doi:10.1080/02699931.2013.837379).초기 인류는 각자 또는 소가족 단위로 사냥을 하거나 먹을 것을 구하고, ... ...
- [과학뉴스] 질투하는 사람은 조직마다 꼭 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최근 어느 조직이든지 네 가지 유형의 사람들이 비슷한 비율로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마드리드카를로스3세대 응용수학과 앙헬 산체스 교수팀은 실험참가자 541명을 150개 그룹으로 나눠 문제 상황에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다. 그리고 행동 양상을 낙관형과 비관형, 신뢰형, 질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