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d라이브러리
"
고리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비누막이 터지는 이유는 비누분자와 물분자의 수소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5
고리
모양의 비누막 뜨개로 비누막을 만들고 세로로 세워두면 비누방울이 떨어지고 잠시후 터집니다. 터지기 직전에 알 수 있는 방법을 지적한 사람은 누구입니까?①아람이 : 한두번 터질 때까지 시간을 재보고 꼭 ... ...
정밀화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항암제 중추신경계 의약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될 전망이다.또 농약분야에서는 헤테로
고리
신규 생리활성물질 효소저해제 키틴저해제 살균제 제초제 등의 연구가 활발할 것이다.이밖에도 반응성염료 레이저 및 전자 감응색소 감열 감압지용 색소 등이 주요 타겟으로 떠오르고 있다 ... ...
열대신 고압으로 식품가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쉽게 된다. 이것은 열이 분자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분자끼리의 이어놓고 있는
고리
를 끊기 때문이다. 복잡하고 입체적인 구조를 한 단백질이 분자레벨의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져 소화효소가 그 작은 조각에 붙기 쉽게 되는 것이다.이렇게 단백질의 분자가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지기 쉽게 된 ... ...
없앨 수 없는 것(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다른 원자들이 붙어 있는 것이다. 이 탄소 배열은 자연계에는 없는 것이다. 탄소 배열
고리
는 꽉 붙어 있어 공기나 물같은 것의 평범한 영향은 플라스틱에 아무런 해도 주지 않고 외면당한다. 박테리아나 곰팡이에서부터 사람과 코끼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에서 진화해왔고 자연물을 ... ...
태양계 탐사 본격적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극지방을 세로로 감싸면서 돌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위성근처에서 일어나는 운동이
고리
의 구성과 움직임을 조종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12년 동안 11만5천여 영상들을 보내온 보이저계획은 대단원의 막을 내렷다. 보이저2호가 태양계를 벗어난 이후에도 천문학자들은 보이저의 데이터를 계속 ... ...
공룡의 죽음-열쇠가 되는 아미노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효소는 우연히도 모든 좌형의 아미노산만 만든다. 단백질분자를 구성하기 위한 유용한
고리
를 만드는 데 있어 좌형의 아미노산들은 쉽게 접속이 될 수 있다. 좌형과 우형이 섞여지면 그렇게 될 수 없다. 물론 모두 우형이라면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35억년 전에 생명체가 처음 등장했을 때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 계획은 6년 예정이며 22개월 동안 목성궤도를 돌면서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과
고리
및 위성을 관찰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계획의 핵심은 무게 약 3백㎏인 탐사장비를 목성의 대기 속으로 떨어뜨려, 중력에 의해서 파괴될 때까지 데이터를 받아내는 것이다. 최근 핵추진위성이라 하여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눈길을 끌었다.원전 11,12호기는 또 전기출력이 1백4만KW인 첫번째 원전이다. 기존 원전은
고리
1호기(58만7천KW)
고리
2호기(65만KW) 월성1호기(67만9천KW)를 빼면 나머지는 모두 95만KW의 용량을 갖고 있다.세계적으로 원전산업은 79년 드리마일섬사고와 86년 체르노빌사고를 겪으면서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 ...
마지막 남은 청정지역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많이 있으며 이것을 작은 동물들이 먹고 또 그 동물들을 보다 큰 동물들이 먹는 등, 먹이
고리
가 형성돼 있는 것이다.실제 과거나 현재 지구에 살았던 가장 큰 동물인 거대한 푸른색 고래는 남극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이 고래는 지상에 살았던 가장 큰 공룡보다 무게가 배나 되는 1백50t이나 나간다.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두루봉일대에 살면서 후기 구석기문화를 누렸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잃어버린
고리
이교수팀의 발굴성과를 그대로 인정한다면 우리 민족의 직접 조상은 적어도 4만년이전의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셈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구석기인은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먹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