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리"(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과학동아 l1990년 08호
- 서천 연안, 광양만, 경기만, 인천항 저유소 폐유처리장, 군산항, 마산만, 수영만 일대, 고리 등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그리고 하구의 만성적 유류오염이 일어나는 해역과, 신안군 만재도 근해 및 영일만 등 유조선 침몰사고로 인한 유출오염 해역을 선정했다.대상해역에서의 유류분해세균수의 분포는 ... ...
- 세계최대 초전도 가속기 건설에 한국 참여과학동아 l1990년 07호
- 고리마다 4천개 이상의 초전도작석이 들어간다. 가속기가 가동되면 양자들이 작은 고리에 넣어지고 가속되면서 두개의 빔으로 쪼개진다. 이 빔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터널을 회전하는데 거의 광속으로 가속된 순간 양자들은 서로 충돌하게 된다.이 순간 온도는 우주탄생(빅뱅) 직후의 온도까지 ... ...
- 킬라우에아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지구과학자들은 하와이 화산지역이 5천6백㎞에 달하는 긴 해저산맥과 환초(環礁, 고리모양의 산호초)를 따라 형성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카우이에서 하와이까지 다섯 섬으로 이어지는 기다란 사슬의 형성과정과 용암이 분출하게 된 배경은 판(板)구조론(plate tectonics)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 ...
- 새로운 AIDS 백신과 항체 발견과학동아 l1990년 06호
- HIV를 무력화시킨다는 동물 임상실험결과를 발표했다.V3는 HIV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막의 고리(loop)부분으로 이 부위에 항체가 부착되면 바이러스의 활동이 무력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금까지 많은 AIDS 백신 연구가 진행됐으나 막상 실용화 단계로 진전하는 데는 장애가 따랐다. HIV가 보통의 ... ...
- 4월12일 허블우주망원경 띄운다과학동아 l1990년 04호
- 것과 같은 효과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금성의 구름, 화성의 협곡, 목성의 위성, 토성의 고리 등이 새로운 모습으로 비쳐질 수 있다.이밖에도 유럽우주기구(ESA)에서 제작한 또 하나의 카메라가 실리는데, 이를 통해 28등성 내지 29등성에 가까운 어두운 별도 관측된다.이러한 장치들이 예정대로만 ...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학문적 삶을 불사르고 있다. 인류 역사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는 순수한 지적(知的) 욕구와 정열에서.실험고고학과 짝을 이루는 분야가 있다. 기술고고학이다. 이 학문은 기술사(技術史)와 산업기술사보다 더 오랜 시기를 대상으로 한다고 보면 이해가 빨라진다. 기술사와 ...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과학동아 l1990년 03호
- 화성에 연착륙시켜 직접적인 표면탐사를 하는데 큰 업적을 세운 바이킹1,2호, 목성의 고리(環)를 발견한 파이어니어(Pioneer)호 등도 제트추진연구소의 계획하에 탐사활동을 벌였다. 1989년까지 장장 12년간에 걸쳐 목성 토성 천왕성 및 해왕성과 이들에 매달린 위성들에 관한 신비의 문을 열어준 보이저 ... ...
- 기체는 연속인가, 입자인가?과학동아 l1990년 03호
- 1분이 지난 뒤 흰고리가 한 쪽에 치우쳐 나타나는 것을 관찰한다. 3-1 위의 현상에서 흰 고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그림으로 그려보라.3-2 흰 동그라미가 한 가운데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① 아람 : 각 분자가 공기 입자와 결합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② 보람 : 각 분자 자체의 운동속도가 다르기 ...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진주로 불리는 해왕성도 다른 목성형 행성과 같이 두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 고리는 결빙된 메탄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왕성 적도 상공 2만7천km와 4천8백30km에 각각 머물러 있었다.해왕성의 북쪽에서는 시속 6백40km에 폭이 4천3백45km인 지구상의 제트기류 같은 기류대, 그리고 ... ...
- 플라스틱이 전기를 통한다과학동아 l1990년 02호
- 변한 것이다.에틸렌과 같은 단량체를 섞은 뒤 화학결합, 즉 중합을 시키면 두 단량체는 고리처럼 서로 연결되면서 자라난다. 이와 같이 기체나 액체(분자량이 작은 물질) 등 단량체를 '모으면' 고분자물질이 탄생하는 것이다.현재 전기를 통하는 재료로는 철을 포함해서 몇 가지의 금속이 대표적이다.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